-
1.
公开(公告)号:KR20210035515A
公开(公告)日:2021-04-01
申请号:KR1020190117400A
申请日:2019-09-24
Applicant: 현대건설주식회사
Inventor: 문병욱
CPC classification number: E04C5/162 , E04C5/0604
Abstract: 본 발명에 의하면,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1 변부와 제2 변부를 구비하는 직사각형태의 테두리 철근부; 및 상기 테두리 철근부의 내부 영역을 가로지르며 상기 제1 변부와 상기 제2 변부를 연결하는 보강 철근부를 포함하며, 직선으로 연장되는 하나의 재료 철근이 복수의 지점에서 절곡되어서 성형되는, 철근 콘크리트의 철근 구조물용 띠철근이 제공된다.
-
公开(公告)号:KR102230953B1
公开(公告)日:2021-03-24
申请号:KR1020190132845A
申请日:2019-10-24
Applicant: 현대건설주식회사
IPC: E02D5/38
CPC classification number: E02D5/38 , E02D2200/13 , E02D2200/1685 , E02D2300/0034 , E02D2300/0046 , E02D2600/40
Abstract: 본 발명은 스티로폼을 이용한 중공형 말뚝 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상인 지반을 소정의 깊이로 굴착하여 형성되는 굴착공간에 설치되는 중공형 말뚝에 있어서, 상기 굴착공간 내에 배치되고, 내부가 중공으로 형성된 관부재; 상기 관부재의 내부에 구비되는 스티로폼; 상기 관부재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고, 상기 굴착공간을 유지하면서 상기 중공형 말뚝이 고정되도록 지원하는 철근망; 및 상기 철근망의 하단에 배치되고, 상기 철근망 및 관부재가 부상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부상방지용 철판;을 포함하고, 상기 스티로폼이 상기 관부재 내부에 구비된 상태에서, 상기 굴착공간으로 콘크리트가 타설되며, 상기 부상방지용 철판과 상기 타설되는 콘크리트 간의 마찰 및 상기 부상방지용 철판의 무게를 함께 이용하여 상기 철근망 및 관부재가 부상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
3.
公开(公告)号:KR20210036126A
公开(公告)日:2021-04-02
申请号:KR1020190118191A
申请日:2019-09-25
Applicant: 현대건설주식회사
CPC classification number: B28B7/0014 , B61D3/166 , E02D23/00
Abstract: 본 발명은 마찰저항 증대형 신형식 케이슨 제작시스템 및 제작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케이슨의 베이스 슬래브가 제작되는 제1 스텝부; 상기 제1 스텝부로부터 이송되어 오는 베이스 슬래브의 상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케이슨의 벽체를 제작하는 제2 스텝부; 상기 제2 스텝부로부터 이송되어 오는 케이슨에 대하여 교정 작업 및 마감작업을 수행하는 제3 스텝부; 및 상기 제3 스텝부로부터 이송되어 오는 케이슨을 진수하기 위한 플로팅 독 선이 접안하는 플로팅 독;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스텝부에서부터 제2 스텝부, 제3 스텝부 및 플로팅 독까지는 다수개의 이동통로가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스텝부의 형성되는 제1이동통로의 상부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1스텝부에서 제작되는 베이스 슬래브의 하면에 요철형상을 형성시키기 위한 레이어유닛; 및 상기 제1스텝부의 평탄부는 상기 제1이동통로의 상부보다 낮게 구성되며, 상기 평탄부 상부에 설치되며 상부면에 요철부가 구비되어 상기 베이스 슬래브 하면에 요철형상을 형성시키는 요철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저항 증대형 케이슨 제작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
公开(公告)号:KR102235873B1
公开(公告)日:2021-04-02
申请号:KR1020190089053A
申请日:2019-07-23
Applicant: 현대건설주식회사
Abstract: 부분 프리캐스트 피어캡 제작 방법, 부분 프리캐스트 피어캡 및 이를 포함하는 구조물의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며, 부분 프리캐스트 피어캡 제작 방법은 내부에 상하 방향으로 개구된 중공부가 형성되어 상기 중공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이 프리캐스트되는 피어캡 몸체의 외면에 대응하는 외부 거푸집을 배치하고, 상기 피어캡 몸체에 대응하는 상기 외부 거푸집과 상기 내부 거푸집 사이의 충진 공간에 대하여 복수의 철근을 배치하는 단계, 상기 충진 공간에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하여 상기 피어캡 몸체를 형성하는 단계 및 형성된 상기 피어캡 몸체로부터 상기 외부 거푸집과 상기 내부 거푸집을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
公开(公告)号:KR102227164B1
公开(公告)日:2021-03-12
申请号:KR1020200031840A
申请日:2020-03-16
CPC classification number: G08G1/146 , G06Q50/30 , H04N7/18 , G06K2209/15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의 구비에 따른 선택적 주차유도 제어가 가능한 주차유도 시스템을 개시한다. 주차유도 시스템은 차량 카드 및 차번 인식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주차유도 시스템은 블루투스 통신을 수행하는 제1 근거리 무선통신부, 주차장에서의 빈 주차면이 검색되도록 하기 위한 제1 카메라 그룹을 포함하는 주차유도 카메라 장치 그룹, 제2 근거리 무선통신부를 포함하는 주차장 단말기를 복수로 구비하는 주차장 단말기 그룹, 주차 유도에 관련된 방향지시 정보를 받아 주차장 맵 상에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주차 유도 안내부를 복수로 포함하는 주차 유도 안내 그룹, 및 상기 제1 근거리 무선통신부, 상기 주차유도 카메라 장치 그룹, 상기 주차장 단말기 그룹, 및 상기 스마트 폰과 통신함에 의해 결정된 상기 차량의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방향지시 정보를 주차 유도 안내부 및 상기 차량의 운전자의 스마트 폰으로 제공하는 주차유도 서버를 포함한다.
-
6.
公开(公告)号:KR20210036125A
公开(公告)日:2021-04-02
申请号:KR1020190118190A
申请日:2019-09-25
Applicant: 현대건설주식회사
CPC classification number: B28B7/0014 , B61D3/166 , E02D23/00
Abstract: 본 발명은 마찰저항 증대형 신형식 케이슨 제작시스템 및 제작방법에 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케이슨의 베이스 슬래브가 제작되는 제1 스텝부; 상기 제1 스텝부로부터 이송되어 오는 베이스 슬래브의 상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케이슨의 벽체를 제작하는 제2 스텝부; 상기 제2 스텝부로부터 이송되어 오는 케이슨에 대하여 교정 작업 및 마감작업을 수행하는 제3 스텝부; 및 상기 제3 스텝부로부터 이송되어 오는 케이슨을 진수하기 위한 플로팅 독 선이 접안하는 플로팅 독;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스텝부에서부터 제2 스텝부, 제3 스텝부 및 플로팅 독까지는 다수개의 이동통로가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스텝부에 형성되는 제1이동통로의 상부측에 종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설치되어, 상기 제1스텝부에서 제작되는 베이스 슬래브의 하면에 종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요철형상을 형성시키기 위한 레이어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저항 증대형 케이슨 제작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
7.
公开(公告)号:KR20210033298A
公开(公告)日:2021-03-26
申请号:KR1020190114864A
申请日:2019-09-18
Applicant: 현대건설주식회사
IPC: F24F11/00 , F24F11/63 , F24F110/10 , F24F120/14 , F24F140/10
CPC classification number: F24F11/0001 , F24F11/63 , F24F2110/10 , F24F2120/14 , F24F2140/10
Abstract: 본 발명은 연돌효과에 의해 발생하는 건물 내 공용부와 전유부의 차압 저감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건물의 사용자가 동일 층의 전유부와 공용부를 출입하는 상기 전유부의 현관을 개폐하기 위하여 상기 현관에 접근하는 것을 감지하는 동작센서; 상기 건물의 공용부를 환기시키기 위해 설치된 공용부 창호를 자동으로 개폐하는 창호 개폐장치; 및 상기 동작센서를 통해 상기 현관에 사용자가 접근하는 것이 감지되면, 상기 전유부와 상기 공용부 사이의 압력 차를 산출하여 상기 공용부 창호의 개방을 위한 압력 설정값(Pa)과 비교하며, 상기 산출된 전유부와 상기 공용부의 압력 차가 상기 공용부 창호의 개방을 위한 압력 설정값(Pa) 이상인 경우, 상기 창호 개폐장치를 통해 상기 공용부 창호를 개방하여 상기 건물 내로 공기를 유입시키거나 유출시킴으로써, 상기 전유부와 상기 공용부의 압력 차를 저감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연돌효과에 의해 발생하는 건물 내 공용부와 전유부의 차압 저감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연돌효과에 따른 과도한 압력 차를 각 층의 개별 창호를 개방하여 해소함으로써, 건물의 설계변경에 따른 지속적인 압력 차를 저감하는 것과 함께 단속적인 압력 차를 저감할 수 있고, 공용부 창호를 개방시켜 외부 공기를 유입시킴으로써, 건물 내 공조 장치를 이용하지 않고서도 연돌효과에 따른 과도한 압력 차를 해소할 수 있으며, 중성대로부터 멀어질수록 가중되는 연돌효과에 따른 압력 차를 각 층의 공용부 창호를 개별적으로 제어함으로써, 보다 시의적절하고 보다 간편한 유지와 관리가 가능한 효과를 포함한다.
-
公开(公告)号:KR20210032744A
公开(公告)日:2021-03-25
申请号:KR1020190114146A
申请日:2019-09-17
Applicant: 현대건설주식회사
CPC classification number: G06Q50/08 , G06F30/13 , G06Q10/06313 , G06Q10/1091
Abstract: 본 발명에 의하면, 건설공사 관리 대상 건축물의 BIM 모델이 생성되는 BIM 모듈; 상기 BIM 모델이 업로드되는 관리 플랫폼; 관리 플랫폼에 업로드된 상기 BIM 모델에서 객체들 각각에 부재상태정보를 맵핑하는 맵핑 모듈; 및 상기 건설공사 관리 대상 건축물의 설계 변경 사항을 상기 관리 플랫폼에 반영하는 설계 변경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맵핑 모듈은, 상기 관리 플랫폼에 업로드된 상기 BIM 모델의 객체들 각각에 부여된 GUID를 식별하는 GUID 식별부와, 상기 BIM 모델의 객체에 부재상태정보를 자동으로 맵핑하는 자동 맵핑부를 구비하며, 상기 GUID 식별부는, 상기 설계 변경 모듈에 의한 설계 변경이 반영된 수정 BIM 모델의 객체들 각각의 GUID와 수정 전 BIM 모델의 객체들 각각의 GUID를 비교하여 동일한 GUID를 갖는 객체를 기존 부재로 분류하며, 상기 자동 맵핑부는 상기 기존 부재로 분류된 객체에 부재상태정보를 자동으로 맵핑하는, BIM 기반 건설공사 관리 시스템이 제공된다.
-
公开(公告)号:KR20210027901A
公开(公告)日:2021-03-11
申请号:KR1020190108948A
申请日:2019-09-03
Applicant: 현대건설주식회사
CPC classification number: G06Q50/08 , G06Q10/06316 , G06Q10/1093
Abstract: 본 발명에 의하면,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공법에서 건축물에 복수개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들을 설치하는 공사를 관리하는 시스템으로서, 상기 복수개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들 각각에 대한 설치 예정일을 포함하는 속성을 입력하거나 수정하기 위한 속성 관리부; 상기 복수개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들에 대한 공사 일정을 입력하거나 수정하기 위한 일정 관리부; 상기 복수개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들 각각에 대한 생산 완료일을 포함하는 생산 정보를 입력하거나 수정하기 위한 생산 관리부; 및 상기 복수개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들 각각의 공사 일정을 관리하는 공사관리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공사관리 서버는 상기 설치 예정일과 상기 생산 완료일을 비교하여 상기 일정 관리부로부터 전송된 상기 공사 일정의 진행 가능 여부를 검토 시점을 기준으로 판단하는 일정 판단부를 구비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공사관리용 시스템이 제공된다.
-
公开(公告)号:KR20210025300A
公开(公告)日:2021-03-09
申请号:KR1020190105147A
申请日:2019-08-27
Applicant: 현대제철 주식회사 , 주식회사 씨엠디기술단 , 주식회사 대웅 , 현대건설주식회사
IPC: C09K17/10 , C04B18/08 , C04B18/14 , C04B22/12 , C04B28/04 , C04B103/14 , C04B111/00
CPC classification number: C09K17/10 , C04B18/08 , C04B18/141 , C04B18/144 , C04B18/149 , C04B22/124 , C04B28/04 , C04B2103/14 , C04B2111/00732
Abstract: 일 측면에 따른 연약지반 급속 처리용 지반 고화재는, 고로슬래그 미분말 20~80중량%, 염소 함유량이 1∼10중량%인 제철소 중조 부산물 0 초과 50중량%, 물과 1:1 중량% 혼합시 10분 이내에 60℃ 이상 수화열 발생이 가능한 제철소 제강 더스트 5∼30중량%, 물과 1:1 중량부 혼합시 10분 이내에 60℃ 이상 수화열 발생이 가능한 페트로 코크스 연소재 5∼30중량%;, 물과 1:1 중량부 혼합시 10분 이내에 90℃ 이상 수화열 발생이 가능한 알루미늄 드로스 5∼30%중량%, 및 시멘트 5∼30중량%를 포함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