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公开(公告)号:KR102152333B1
公开(公告)日:2021-03-26
申请号:KR1020190139696A
申请日:2019-11-04
Applicant: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CPC classification number: B60L58/12 , B60L53/665 , H02J3/32 , B60Y2200/91 , Y02T10/70
Abstract: 본 발명은 전력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 공급자, 상기 전력 공급자로부터 공급된 전력을 저장하고, 아파트 단지 및 주차장을 포함하는 전력 수요자에게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ESS(Energy Storage System), 상기 ESS, 시프트 가능 기기, 시프트 불가능 기기, EV의 전력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전력 정보를 이용하여 각 EV에 대한 제어 정보를 산출하고, 산출된 제어 정보를 EV 제어 시스템으로 송신하는 ESS 제어 시스템 및 EV의 전력 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ESS 제어 시스템으로 송신하고, 상기 ESS 제어 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한 제어 정보에 따라 각 EV의 충·방전을 제어하기 위한 EV 제어 시스템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 전력 수요자의 입장으로만 고려한 EV를 이용하여 ESS에 대해 전력을 공급할 수 있으므로, EV에서 보유한 전력을 ESS의 최적 SoC를 유지하기 위해 활용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
2.
公开(公告)号:KR20210025741A
公开(公告)日:2021-03-10
申请号:KR1020190104858A
申请日:2019-08-27
Applicant: 주식회사 찰스일렉트로닉스
Inventor: 강동연
CPC classification number: B60L53/305 , B60L53/12 , B60L53/37 , B60L53/38 , B60L53/665 , B60L58/12 , G09F21/04 , H02J50/90 , B60L2250/10 , B60L2250/16 , B60Y2200/91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통신단말기에 탑재되는 전기자동차 충전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기자동차를 무선충전할 때 무선충전패드가 전기자동차의 충전코일에 충전 오류 또는 충전 불량을 최소화활 수 있고, 나아가 충전에 따른 결제의 편리성 및 앱 개발자로 하여금 광고에 따른 수익 창출을 도모할 수 있는 휴대용통신단말기에 탑재되는 전기자동차 충전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
3.
公开(公告)号:KR20210032107A
公开(公告)日:2021-03-24
申请号:KR1020190113397A
申请日:2019-09-16
Inventor: 차정민
CPC classification number: B60L53/665 , B60L53/66 , B60L53/12 , B60L53/18 , B60L53/305 , B60L53/62 , G06K19/06 , H02S50/10 , B60Y2200/91 , Y02T10/70 , Y02T90/12 , Y02T90/16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 자동차용 충전 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충전소를 통해 충전을 수행하지 못할 경우에 다른 차량으로부터 전력을 제공받아 충전할 수 있는 전기 자동차용 충전 관리 장치, 이를 포함하는 충전 시스템 및 충전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용 충전 방법은 충전 대상 차량으로부터 충전 요청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충전 요청 데이터를 기반으로 복수의 차량 중 충전 대상 차량과 전력을 공유할 충전 제공 차량을 확인하고, 상기 충전 제공 차량에 대한 차량 정보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차량 정보 데이터를 상기 충전 대상 차량으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충전 대상 차량 또는 충전 제공 차량으로부터 수신한 충전 결과 데이터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충전 결과 데이터를 기반으로 결제 요청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제 요청 데이터를 상기 충전 대상 차량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
公开(公告)号:JP2018027012A
公开(公告)日:2018-02-15
申请号:JP2017205105
申请日:2017-10-24
Applicant: ゴゴロ インク
Inventor: ルーク ホクサム ホレース , テイラー マシュー ホワイティング
CPC classification number: G07C5/0858 , B60L1/00 , B60L1/003 , B60L1/02 , B60L1/14 , B60L3/003 , B60L3/0046 , B60L3/0061 , B60L3/0069 , B60L3/12 , B60L7/06 , B60L7/14 , B60L7/22 , B60L15/2045 , B60L50/40 , B60L50/50 , B60L50/51 , B60L50/64 , B60L50/66 , B60L53/11 , B60L53/14 , B60L53/30 , B60L53/305 , B60L53/65 , B60L53/665 , B60L53/68 , B60L53/80 , B60L55/00 , B60L58/10 , B60L58/12 , B60L58/16 , B60L58/21 , B60L58/26 , B60L2200/12 , B60L2200/24 , B60L2210/12 , B60L2210/14 , B60L2210/30 , B60L2220/14 , B60L2220/16 , B60L2220/46 , B60L2240/12 , B60L2240/14 , B60L2240/26 , B60L2240/421 , B60L2240/423 , B60L2240/427 , B60L2240/429 , B60L2240/525 , B60L2240/545 , B60L2240/622 , B60L2240/642 , B60L2240/645 , B60L2240/662 , B60L2240/70 , B60L2250/10 , B60L2250/16 , B60L2250/18 , B60L2250/20 , B60L2250/22 , B60L2260/44 , B60L2260/52 , B60L2270/34 , B60L2270/46 , B60R25/04 , E05B47/0001 , E05B81/04 , E05B81/56 , G01C21/3476 , G01C21/3682 , G05B19/05 , G05B2219/15048 , G05B2219/15053 , G05F1/66 , G06F3/0608 , G06F3/0638 , G06F3/0671 , G06Q10/02 , G06Q30/0253 , G06Q30/0259 , G06Q30/0261 , G06Q30/0267 , G06Q30/0639 , G07C5/00 , G07C9/00309 , G07C2009/00769 , G07F15/003 , G07F15/005 , G07F15/006 , G07F17/0042 , G07F17/12 , H01M10/425 , H01M10/4257 , H01M10/441 , H01M10/482 , H01M2010/4271 , H01M2010/4278 , H01M2220/20 , H01M2220/30 , H02J4/00 , H02J7/00 , H02J7/0013 , H02J7/0021 , H02J7/0027 , H02J7/007 , H02J2007/0001 , H02J2007/0098 , Y02E60/12 , Y02E60/721 , Y02T10/645 , Y02T10/7005 , Y02T10/7011 , Y02T10/7022 , Y02T10/7044 , Y02T10/705 , Y02T10/7055 , Y02T10/7072 , Y02T10/7088 , Y02T10/7094 , Y02T10/7225 , Y02T10/7233 , Y02T10/7241 , Y02T10/7258 , Y02T10/7283 , Y02T10/7291 , Y02T10/92 , Y02T90/121 , Y02T90/124 , Y02T90/127 , Y02T90/128 , Y02T90/14 , Y02T90/16 , Y02T90/161 , Y02T90/162 , Y02T90/163 , Y02T90/168 , Y02T90/169 , Y04S10/126 , Y04S30/12 , Y04S30/14 , Y04S50/10 , Y04S50/14 , Y10T70/7062 , Y10T307/406
Abstract: 【課題】適正かつ予測可能な航続距離を確保する車両の動作制限を提供する。 【解決手段】車両の動作(速度、加速度など)は、様々な条件に基づいて制限される。当該条件は、例えば、電気エネルギー蓄積デバイス(電池やスーパーあるいはウルトラキャパシタなど)の電流変化状態、その履歴、車両に係る条件(総走行距離、重量、大きさ、抗力係数など)、車両の運転者あるいは操作者(速度、加速度、総走行距離に係る履歴など)、環境条件(気温、地形など)の少なくとも1つである。コントローラは、トラクション電動モータへ供給される電流と電圧の少なくとも一方を制限するように、少なくとも1つの電力コンバータを制御する。 【選択図】図5
-
公开(公告)号:KR102233152B1
公开(公告)日:2021-03-29
申请号:KR1020200078940A
申请日:2020-06-29
Applicant: 주식회사 일렉오션
CPC classification number: H04L67/2838 , B60L53/305 , B60L53/665 , G06Q50/30 , H04L67/12 , H04L67/16 , H04L69/08 , H04L69/18 , B60Y2200/91 , Y02T90/16 , Y02T90/167
Abstract: 현재 국내 전기차 충전사업자들은 각 사업자들만의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충전기 제조사들은 동일한 전기차 충전기를 개발하고 있으나, 납품 업체에 따라서 통신 프로토콜을 달리하고 있어, S/W 관리의 어려움으로 충전장치의 주요 장애요인이 되고 있습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충전기와 전기차충전소 통합관리 서버를 연결하는 충전스테이션 통합관리용 미들웨어 시스템을 제공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충전기와 전기차충전소 통합관리 서버를 연결하는 충전스테이션 통합관리용 미들웨어 시스템에 의하여 OCPP 2.0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충전부터 운영, 결제까지의 전체 전기차 충전 과정 전체에 사용됨으로써, 기존에 개발되어진 시스템과 비교하여 전기차 충전을 위하여 장치간의 불필요한 메시지 변환이 없거나 적어짐으로써 보다 빠르게 충전상태의 실시간 정보 확인과 시스템 제어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
公开(公告)号:KR20210033560A
公开(公告)日:2021-03-29
申请号:KR1020190114420A
申请日:2019-09-18
Applicant: 이정용
Inventor: 이정용
IPC: B60L53/80 , B60K1/04 , B60K7/00 , B60L50/60 , B60L53/12 , B60L53/16 , B60L53/66 , B60L58/10 , B60L58/19 , B64D27/24 , B64F1/00
CPC classification number: B60L53/80 , B60K1/04 , B60K7/0007 , B60L50/66 , B60L53/12 , B60L53/16 , B60L53/665 , B60L58/10 , B60L58/19 , B64D27/24 , B64F1/00
Abstract: 자동차나 전기 항공기나 전기 선박 전기 잠수함등의 탈 것의 배터리를 캐리어의 가방등의 내부에 형성하여
캐리어 가방 내부에 형성된 배터리를 손잡이를 빼내고 넣을 수 있게 형성된 캐리어 가방을 콘센트와 플러그식의 장착장치에서 통째로 빼내어 자동차나 전기 항공기나 전기 선박 전기 잠수함등의 탈 것의 전면이나 측면 후면등에 형성된 배터리가 내장된 캐리어를 배터리 삽입용 문을 열고 배터리 삽입용 문이 배터리가 내장된 캐리어의 자동차나 전기 항공기나 전기 선박 전기 잠수함등의 탈 것에 삽입하는 곳까지 이동하는 것을 돕는 여닫이식의 문이 되어 경사판이 되게 하거나 삽입용 문의 내측에 경사판이 될 수 있는 판을 내장하거나 형성하여 배터리 삽입용 문을 연 뒤에 경사판이 될 수 있는 판을 빼내어 경사판을 형성하여 배터리가 내장된 캐리어를 경사판을 통하여 밀어 올려서 자동차나 전기 항공기나 전기 선박 전기 잠수함등의 탈 것의 배터리가 장착되는 위치에 배터리가 내장된 캐리어를 장착하고 배터리가 내장된 캐리어의 일측에는 플러그와 콘센트식의 전원연결구가 형성되며 자동차나 전기 항공기나 전기 선박 전기 잠수함등의 탈 것의 배터리 장착 위치에 형성되는 콘센트나 플러그식의 전원 연결구에 삽입하여 연결하도록 하는 것이며 연결한 뒤에는 배터리가 내장된 캐리어를 고정하는 고정구에 의하여 고정시키는 것이다.
배터리가 내장된 캐리어는 충전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배터리가 내장된 캐리어를 자동차나 전기 항공기나 전기 선박 전기 잠수함등의 탈 것에서 빼내어 집으로 가지고 들어 가서 가정이나 직장의 콘센트에 배터리가 내장된 캐리어에 형성된 플러그를 삽입하여 충전시키며 집에서 쉬는 시간 또는 취침시간등에 충분히 충전이 되면 플러그를 빼내어 자동차나 전기 항공기나 전기 선박 전기 잠수함등의 탈 것으로 배터리가 내장된 캐리어를 이동시켜서 상기한 바와 같이 자동차나 전기 항공기나 전기 선박 전기 잠수함등의 탈 것의 전원 연결구에 연결하여 자동차나 전기 항공기나 전기 선박 전기 잠수함등의 탈 것의 전원으로 사용하는 것이다.
-
7.
公开(公告)号:KR20210026400A
公开(公告)日:2021-03-10
申请号:KR1020190107115A
申请日:2019-08-30
CPC classification number: B60L58/12 , B60L53/62 , B60K6/24 , B60K6/28 , B60L50/53 , B60L53/665 , B60L58/13 , B60L7/10 , B60L7/18 , G07C5/0825 , H02J7/0048 , H02J7/007 , B60L2240/62 , B60L2240/642 , B60L2250/10 , B60W20/00 , B60W2555/40 , B60Y2200/91 , B60Y2200/92 , B60Y2300/91 , Y02T10/70
Abstract: 지형을 고려하여 최적 충전량 및 최적 충전 알람을 설정할 수 있는 외부 전원을 충전받는 차량의 배터리 충전량 최적화 제어 장치 및 그의 충전량 최적화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지형의 고도 정보를 포함하는 지도 저장부, 차량의 현재 위치를 탐지하는 위치 탐지부, 그리고 지도 저장부 및 위치 탐지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제어부는, 운전자 희망 충전 설정값이 입력되면 차량의 현재 위치를 상기 위치 탐지부로부터 획득하고, 차량의 현재 위치와 목적지 사이의 주행 경로에 상응하는 지형의 고도 정보를 획득하며, 고도 정보를 토대로 주행 경로상의 오르막 또는 내리막 구간에 대한 이득 충전량을 연산하고, 연산된 이득 충전량을 토대로 운전자 희망 충전 설정값을 보정하여 최적 충전 설정값을 연산하며, 최적 충전 설정값과 현재 잔여 충전량을 토대로 최종 목표 충전량을 연산하여 최적 충전을 수행하도록 충전 제어할 수 있다.
-
公开(公告)号:KR102238092B1
公开(公告)日:2021-04-09
申请号:KR1020180172893A
申请日:2018-12-28
Applicant: 고고로 아이엔씨.
CPC classification number: H02J7/00 , B60L53/665 , B60L53/80 , B60L58/18 , B60L2240/54 , B60Y2200/91 , Y02T10/70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의 장치 교환 스테이션(device-exchange stations)을 관리하는 방법 및 연관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상기 방법은, 예를 들어, (1) 장치 교환 스테이션 각각에 위치된 에너지 저장 장치(energy storage devices)의 이용 가능성(availability)에 기초하여 복수의 장치 교환 스테이션 각각에 대한 스코어(score)를 결정하는 단계; (2) 각각의 장치 교환 스테이션의 스코어에 기초하여 복수의 장치 교환 스테이션의 시퀀스(sequence)를 결정하는 단계; 및 (3) 장치 교환 스테이션의 시퀀스(sequence)를 가격 비율(price rate)의 분포(distribution)에 대응하는 특성 곡선(characteristic curve)에 매핑(mapping)함으로써 장치 교환 스테이션의 각각에 대한 가격 비율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
公开(公告)号:KR102235836B1
公开(公告)日:2021-04-05
申请号:KR1020190062334A
申请日:2019-05-28
Applicant: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Inventor: 김현석
CPC classification number: B60L58/10 , B60L53/665 , B60L2240/547 , B60Y2200/91 , Y02T10/70
Abstract: 전기차의 완속 충전 시 부하의 사용 전류량을 고려하여 충전 전류를 공급하는 OBC(On Board Charge)에 충전 전류를 가변적으로 요청함으로써 부하 사용에 의해 완속 충전시간이 증가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전기차의 완속 충전시간 단축을 위한 충전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완속 충전이 발생하면, 배터리 관리 시스템으로부터 충전 가능 전류량과 배터리 팩 전압 및 SOC 정보를 전달받고, 고전압 부하의 전류 사용량을 확인하는 단계, 확인한 부하의 전류 사용량과 충전가능 전류량을 기초로 충전가능 전류량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 산출한 충전가능 전류량 정보와 배터리 팩 전압 및 SOC 정보를 OBC에 전달하고, OBC에서 공급되는 충전 전류를 차량 전압분배 유닛에 전달하는 단계, 전달되는 충전 전류에서 배터리 관리 시스템에서 요구하는 충전가능 전류량을 배터리 관리 시스템으로 전달하고, 나머지 전류를 고전압 부하 전류로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전기차의 완속 충전시간 단축을 위한 충전 제어방법을 구현한다.
-
公开(公告)号:KR102235943B1
公开(公告)日:2021-04-02
申请号:KR1020200114047A
申请日:2020-09-07
Applicant: 김상욱
Inventor: 김상욱
CPC classification number: G06Q50/30 , B60L53/18 , B60L53/63 , B60L53/665 , G06F17/18 , G06F9/5083 , G06Q20/405 , B60Y2200/91 , G06Q2220/10 , Y02T90/12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차 충전소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충전기를 관리 및 제어하는 운영서버의 과부하를 막고 충전소의 전력 소모량을 예측하여 안정적인 충전소 운영을 제공하는 전기차 충전소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충전소 내에 설치되고 각각 충전케이블을 구비하며 충전기 데이터를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하는 복수의 충전기, 그리고 상기 네트워크에 설정 등록되어 상기 충전기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충전기 데이터를 처리하거나 또는 상기 충전기로 명령을 전송하는 복수의 운영서버, 그리고 상기 충전기와 상기 운영서버를 연결하되, 상기 충전기의 연결요청 신호에 대한 응답으로 서버를 포트 별로 분배하여 상기 충전기 중 어느 하나와 어느 한 운영서버를 연결하는 분산처리모듈을 포함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