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公开(公告)号:KR20210025476A
公开(公告)日:2021-03-09
申请号:KR1020200090247A
申请日:2020-07-21
Applicant: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Inventor: 쇼헤이 호소다
CPC classification number: H01R13/641 , H01R13/465 , H01R12/716 , H01R13/11 , H01R13/2407 , H01R13/502 , H01R13/66 , H01R2107/00
Abstract: (과제) 단자의 접속 상태를 시각을 통하여 직관적, 직관적으로 확인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확인을 용이하게 또한 확실하게 행할 수 있는 커넥터 장치를 제공하는 것.
(해결 수단)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를 구비한다. 제1 커넥터는, 제1 하우징과, 제1 하우징에 형성한 제1 단자를 갖는다. 제2 커넥터는, 제2 하우징과, 제2 하우징에 형성한 제2 단자 및 시인 부재를 갖는다. 제1 커넥터의 적어도 일부가 제2 하우징의 소정 부분에 삽입되었을 때에, 제1 단자와 제2 단자가 접속되도록 되어 있다. 시인 부재는, 제1 커넥터의 적어도 일부가 제2 하우징의 소정 부분에 삽입되었을 때에, 제1 커넥터의 적어도 일부 또는 다른 적어도 일부와 맞닿을 수 있는 맞닿음부와, 접속의 전후의 적어도 어느 한쪽에 있어서 제2 커넥터의 외부로부터 시인 가능한 상태로 형성되고, 맞닿음에 응답하여 시인 상태를 변화시키는 시인부를 포함한다.-
公开(公告)号:KR102226482B1
公开(公告)日:2021-03-10
申请号:KR1020170159140A
申请日:2017-11-27
Applicant: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Inventor: 테츠야 오오이
IPC: H01R13/6582 , H01R13/652
CPC classification number: H01R13/6585 , H01R13/6582 , H01R12/716 , H01R12/73 , H01R13/6471 , H01R13/652 , H01R13/6597 , H01R13/405
Abstract: (과제) 전기 신호의 고속 전송용의 커넥터에서는, 차동 전송시에 쌍이 되는 신호 단자끼리에서 발생할 수 있는 크로스 토크를 저감하기 위해, 한쪽의 단자군과 다른 한쪽의 단자군의 사이에, 실드판을 배치하고 있는 것이 있지만, 보다 고속의 전기 신호의 전송이 행해진 경우에는, 서로 마주보는 단자간의 크로스 토크의 발생을 충분히 방지할 수 없었다.
(해결수단) 그래서, 실드판의 일단을 한쪽의 단자군의 양단에 배치된 제1 그라운드 단자에 연결하고, 실드판의 타단을 다른 한쪽의 단자군의 양단에 배치된 제2 그라운드 단자에 연결하여 성형함으로써, 제1 그라운드 단자에 인접하는 단자 및 당해 제1 그라운드 단자에 서로 마주보는 제2 그라운드 단자에 인접하는 단자 중 적어도 한쪽을 신호 단자로서 기능시킨 경우에, 차폐 실드판에서 서로 마주보는 단자와의 사이에서 발생할 수 있는 크로스 토크를 저감하는 것이 가능한 커넥터를 제공한다.-
公开(公告)号:KR102224186B1
公开(公告)日:2021-03-05
申请号:KR1020180057565A
申请日:2018-05-21
Applicant: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Inventor: 카즈야 미도리카와
IPC: H01R13/639 , H01R12/50
CPC classification number: H01R13/639 , H01R12/00
Abstract: (과제) 로크 금구의 로크부에 발출력이 작용해도 당해 로크 금구의 변형 나아가서는 파손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는 전기 커넥터 및 전기 커넥터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해결 수단) 로크 부재(30)는, 단자 배열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고, 단자 배열 방향에서 로크 위치측으로 향하여 돌출된 로크 돌출부(33A, 33B)와, 단자 배열 방향에서 상기 탄성 지지부(45)보다도 로크 해제 위치측에 위치하는 로크 해제 조작부(36)를 갖고 있고, 상기 로크 부재(30)가 상기 탄성 지지부(45)로부터 탄성 지지력을 받아 로크 위치에 있을 때에, 상대 커넥터(2)에 형성된 피로크부(74, 73)에 대하여 상기 로크 돌출부(33A, 33B)가 걸리게, 상대 커넥터(2)의 발출을 저지 가능해지고, 상기 로크 해제 조작부(36)가 상기 탄성 지지력에 저항한 조작력을 받아 상기 로크 부재(30)가 로크 해제 위치로 이동했을 때에, 상기 상대 커넥터(2)의 발출을 허용 가능해진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