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일반식(I)로 표시되는 에폭시수지(A)에, 불포화 일염기산(B) 및 페놀화합물, 알코올화합물, 아민화합물 및 카르복실산에서 선택되는 화합물(C)을 부가시킨 구조를 가지는 에폭시 부가물에 대하여, 다염기산 무수물(D)을 에스테르화시켜 얻어진 반응생성물을 함유하는 알칼리 현상성 수지조성물에, 또한 색재(E) 및 광중합 개시제(F)를 함유시켜 이루어지는 착색 알칼리 현상성 감광성 수지조성물로서, 상기 에폭시 부가물은, 상기 에폭시수지(A)의 에폭시기 1개에 대하여, 상기 불포화 일염기산(B)의 카르복실기가 0.1~1.0개이고, 상기 화합물(C)의 페놀성 수산기, 알코올성 수산기, 아미노기 또는 카르복실기가 0~0.9개이면서, 상기 불포화 일염기산(B) 및 상기 화합물(C)의 합이 0.1~1.0개가 되는 비율로 부가시킨 구조를 가지며, 상기 에스테르화는, 상기 에폭시 부가물의 수산기 1개에 대하여, 상기 다염기산 무수물(D)의 산무수물 구조가 0.1~1.0개가 되는 비율로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색 알칼리 현상성 감광성 수지조성물. 착색 알칼리 현상성 감광성 수지조성물, 다염기산 무수물, 컬러필터
Abstract:
Disclosed is an oxime ester compound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general formula (I). (In the formula, R1, R2 and R3 independently represent R11, OR11, COR11, SR11, CONR12R13 or CN; R11, R12 and R13 independently represent a hydrogen atom, an alkyl group having 1-20 carbon atoms, an aryl group having 6-30 carbon atoms, an arylalkyl group having 7-30 carbon atoms or a heterocyclic group having 2-20 carbon atoms; R4 and R5 independently represent R11, OR11, SR11, COR11, CONR12R13, NR12COR11, OCOR11, COOR11, SCOR11, OCSR11, COSR11, CSOR11, CN, a halogen atom or a hydroxy group; and a and b independently represent a number of 0-3.)
(식 중 R 1 , R 2 및 R 3 은 각각 독립적으로 R 11 , OR 11 , COR 11 , SR 11 , CONR 12 R 13 또는 CN을 나타내고, R 11 , R 12 및 R 13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탄소원자수 1~20인 알킬기, 탄소원자수 6~30인 아릴기, 탄소원자수 7~30인 아릴알킬기 또는 탄소원자수 2~20인 복소환기를 나타내며, R 4 및 R 5 는 각각 독립적으로 R 11 , OR 11 , SR 11 , COR 11 , CONR 12 R 13 , NR 12 COR 11 , OCOR 11 , COOR 11 , SCOR 11 , OCSR 11 , COSR 11 , CSOR 11 , CN, 할로겐원자 또는 수산기를 나타내고, a 및 b는 각각 독립적으로 0~3이다.) 옥심에스테르화합물, 광중합 개시제, 감광성 조성물, 알칼리 현상성 감광성 수지조성물
Abstract:
하기 일반식(I)에서 나타내는 에폭시 수지(A)에, 불포화 1염기산(B) 및 페놀 화합물, 알코올 화합물, 아민 화합물 및 카르본산에서 선택되는 화합물(C)을 부가시킨 구조를 가지는 에폭시 부가물에 대해, 다염기산무수물(D)을 에스테르화 시켜서 얻어진 반응생성물을 함유하는 알칼리 현상성 수지 조성물.
식 중, Cy는 C3-5의 시클로알킬기, X는 H, C1-10의 알킬기 등, Y 및 Z는 C1-C10의 알킬기 등, n은 0~10, p는 0~5, r은 0~4의 수를 나타낸다.) 알칼리, 현상성, 광중합 개시제, 감도, 해상도, 내알칼리성, 에폭시수지
Abstract:
하기 일반식(I)로 나타내는 에폭시 수지(A)에, 불포화 1염기산(B) 및 페놀 화합물, 알코올 화합물, 아민 화합물 및 카르본산에서 선택되는 화합물(C)을 부가시킨 구조를 가지는 에폭시 부가물에 대해, 다염기산무수물(D)을 에스테르화시켜서 얻어진 반응생성물을 함유하는 알칼리 현상성 수지 조성물.
(식 중, Cy는 C3-5의 시클로알킬기, X는 H, C1-10의 알킬기 등, Y 및 Z는 C1-C10의 알킬기 등, n은 0~10, p는 0~5, r은 0~4의 수를 나타낸다.) 알칼리, 현상성, 광중합 개시제, 감도, 해상도, 내알칼리성, 에폭시 수지
Abstract:
일반식(I)으로 표시되는 에폭시수지(A)에, 불포화 일염기산(B) 및 페놀화합물, 알코올화합물, 아민화합물 및 카르복실산에서 선택되는 화합물(C)을 부가시킨 구조를 가지는 에폭시 부가물에 대하여, 다염기산무수물(D)을 에스테르화시켜 얻어진 반응생성물을 함유하는 알칼리 현상성 수지조성물에, 또한 색재(E) 및 광중합 개시제(F)를 함유시켜 이루어지는 착색 알칼리 현상성 감광성 수지조성물로서, 상기 에폭시 부가물은, 상기 에폭시수지(A)의 에폭시기 1개에 대하여, 상기 불포화 일염기산(B)의 카르복실기가 0.1~1.0개이고, 상기 화합물(C)의 페놀성 수산기, 알코올성 수산기, 아미노기 또는 카르복실기가 0~0.9개이고, 또한, 상기 불포화 일염기산(B) 및 상기 화합물(C)의 합이 0.1~1.0개가 되는 비율로 부가시킨 구조를 가지며, 상기 에스테르화는, 상기 에폭시 부가물의 수산기 1개에 대하여, 상기 다염기산무수물(D)의 산무수물 구조가 0.1~1.0개가 되는 비율로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색 알칼리 현상성 감광성 수지조성물. 착색 알칼리 현상성 감광성 수지조성물, 다염기산무수물, 컬러필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