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公开(公告)号:WO2020045746A1
公开(公告)日:2020-03-05
申请号:PCT/KR2018/014051
申请日:2018-11-16
Applicant: 주식회사 요트북
Inventor: 김건태
Abstract: 블록체인 및 ICT 기반 마리나 운영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가 제공되며, 블록체인의 노드를 구성하는 선주 단말로부터 전력거래요청을 수신하고, 수신된 전력거래요청에 대응하도록 전력을 판매하기 위한 계약에 선주 단말로부터 승인을 받고, 선주 단말의 선박으로 전력을 공급한 후 선주 단말로부터 선박에 전력이 공급되었는지의 여부를 피드백받고, 선주 단말로부터 대금을 지불받아 정산을 완료하고, 전력의 거래 내역을 블록체인의 분산장부에 저장하는 전력 자동거래부,적어도 하나의 선박의 운항정보의 히스토리 로그를 적어도 하나의 선박 및 적어도 하나의 선박을 운행하는 선장의 식별부호와 매핑하여 블록체인의 각 노드에 분산하여 저장하는 운항정보 관리부, 적어도 하나의 선박의 정보를 블록체인의 각 노드에 분산하여 공유되도록 저장하는 선박정보 관리부, 및 적어도 하나의 선주 단말 및 선박에 승선한 이용객의 이용객 단말로부터 결제요청이 존재하는 경우, 결제요청자가 이용하는 종류의 통화, 마리나 항만이 위치한 국가의 통화, 통합화폐와 각 통화 간의 환율과 현재시세에 기초하여 결제요청을 처리하는 통합화폐 관리부를 포함한다.
-
公开(公告)号:WO2019182228A1
公开(公告)日:2019-09-26
申请号:PCT/KR2018/015829
申请日:2018-12-13
Applicant: 주식회사 요트북
Inventor: 김건태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요트 이용객 단말 및 요트 선주 단말과 연동하는 마리나 이용관리 시스템은 마리나의 입출입, 편의시설이용 및 요트여행상품을 검색, 예약, 구매하기 위한 제1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요트 이용객 단말; 상기 마리나에서 요트정박, 입출항, 부대시설 이용 및 요트수리를 포함하는 마리나 이용정보를 검색, 예약, 이용하기 위한 제2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요트 선주 단말; 및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 및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고, 상기 요트 이용객 단말에서 예약 및 구입한 요트여행상품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요트 선주 단말에서 요청한 마리나 시설이용정보를 제공하는 마리나 관리서버를 포함한다.
-
公开(公告)号:WO2019078524A1
公开(公告)日:2019-04-25
申请号:PCT/KR2018/011791
申请日:2018-10-05
Applicant: 주식회사 요트북
Inventor: 김건태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요트 글램핑 체험 시스템은 지면에 정박된 요트; 내부에 상기 요트가 위치하고, 사용자가 지정한 운항정보에 따라 상기 요트의 움직임을 제어하고 및 상기 요트의 움직임에 따른 실감정보를 제공하는 요트 글램핑 부스; 상기 요트 글램핑 부스를 이용하기 위한 결제정보 및 상기 운항정보를 입력하는 키오스크 단말; 및 상기 키오스크 단말에서 입력된 결제정보 및 운항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글램핑 부스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관리제어부;를 포함한다.
-
公开(公告)号:WO2019182222A1
公开(公告)日:2019-09-26
申请号:PCT/KR2018/013900
申请日:2018-11-14
Applicant: 주식회사 요트북
Inventor: 김건태
Abstract: 본 발명의 경우, 수중레저사업자는 해당 수중 레저 앱을 이용하여 수중 레저 영업장(다이빙 풀, 리조트 등)의 위치, 이용 가능한 서비스를 대외적으로 용이하게 홍보할 수 있다는 이점, 또한 수중레저사업자는 해당 수중 레저 앱을 통해 영업장의 다이빙 투어지역의 사진, 영업장 시설사진을 등록함으로써, 다이빙 교육을 희망하거나 다이빙 투어를 원하는 고객들의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다. 또한, 안전이 확보된 장소에서의 다이브 돔 구조체와 연계된 수중 레저 스포츠와 관련된 체험 교육 프로그램을 이용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고객은 수중 레저 앱을 통해 다이브 돔에 대한 위치확인 및 실시간 예약가능 인원을 확인할 수 있고, 수중레저활동을 GPS로 지정하고 참여인원, 입수와 출수 시간을 등록할 수 있으며, 등록된 정보를 해양안전관리감독 기관에 전달함으로써, 사고발생 시 위치전송을 통해 빠르게 응급구조를 지원받을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