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본 발명은 양극활물질, 도전제, 탄소섬유 전구체를 포함하는 방사용액의 전기방사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탄소나노파이버, 및 결착제를 포함하는 전기저장장치의 양극 제조용 조성물, 상기 조성물로 제조되는 전기저장장치용 양극,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저장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전기저장장치의 양극 제조용 조성물은 기존의 도전제, 분산제 및/또는 결착제의 일부 또는 전부가 탄소나노파이버로 대체됨으로써, 양극의 비표면적 및 전기전도도를 획기적으로 향상(저항을 감소)시키며, 그에 따라 양극활물질의 효율 및 용량을 극대화시킨다.
Abstract:
휴대용 물품수용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물품수용체는 휴대가 가능하고 물품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를 갖는 수용 본체; 휴대용 전자기기의 메인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전원을 제공하는 배터리; 및 상기 배터리에 저장된 전원을 무선방식 및 유선방식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 측으로 전달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충전유닛;을 포함한다.
Abstract:
플렉서블 배터리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배터리는 전극조립체; 및 상기 전극조립체를 전해액과 함께 봉지하는 외장재;를 포함하고, 상기 전극조립체 및 외장재는 밴딩시 길이방향에 대한 수축 및 이완을 위한 패턴이 동일한 방향성을 갖도록 각각 형성되고, 상기 패턴이 형성된 영역은 본 발명에 따른 조건을 만족하는 영역을 포함한다. 이에 의하면, 길이방향에 대한 수축 및 이완을 위한 패턴이 외장재 및 전극조립체에 모두 형성됨으로써 밴딩이 발생하더라도 요구되는 물성의 저하를 방지하거나 최소화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스마트워치, 시계줄 등과 같은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물론 롤러블 디스플레이 등과 같이 배터리의 유연성 확보가 요구되는 다양한 전자기기에 적용이 가능하다.
Abstract:
본 발명은 플렉시블 전지용 전극에 사용될 수 있도록 가요성이 우수하면서도 전기전도도가 우수한 플렉시블 집전체 및 그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한 이차전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플렉시블 집전체는 다공성 기재에 금속 분말이 주입되어 형성된 전도성 지지체 및 상기 전도성 지지체의 적어도 일측에 형성된 전도성 금속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bstract:
본 발명은 안정성이 우수하고 수명이 긴 그라파이트를 주성분으로 사용하고 전지 용량이 큰 6원계 Si 합금을 첨가제로 사용함에 의해 수명이 길고 전지 용량이 크며 저렴한 이차전지용 음극 활물질, 음극 및 이를 이용한 이차전지와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이차전지용 음극은 음극 집전체 및 상기 음극 집전체의 적어도 일면에 형성된 음극 활물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음극 활물질은 그라파이트 70 내지 90중량% 및 6원계 Si 합금 10 내지 30중량%를 포함하며, 상기 6원계 Si 합금은 비정질 나노섬유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bstract:
본 발명은 나노섬유가 쉘-코어 구조를 갖는 다공성 나노섬유 웹을 이용하여 두 전극 사이의 단락을 방지하여 안전성과 박막화를 동시에 도모할 수 있는 다공성 분리막, 이를 이용한 이차전지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공성 분리막은 지지체 역할을 하며 미세기공을 갖는 다공성 부직포; 및 상기 다공성 부직포의 일측면에 적층되며, 대향하는 전극과 밀착될 때 접착층 및 이온함습층 역할을 하는 다공성 나노섬유 웹을 포함하며, 상기 다공성 나노섬유 웹의 일부는 다공성 부직포의 기공을 부분적으로 차단하도록 다공성 부직포의 표면층에 함입되어 다공성 부직포의 기공도를 낮추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공성 나노섬유 웹은 나노섬유가 팽윤성 폴리머와 비팽윤성 폴리머를 혼합 방사하여 쉘-코어 구조를 가질 수 있다.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방사방법을 이용하여 초극세 섬유의 다공성 고분자 웹으로 이루어진 분리막을 양극 또는 음극의 일면 또는 양면에 일체로 연속적으로 형성하고 분리함에 따라 생산성과 안전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전극 조립체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전극 조립체 제조방법은, 스트립형 전극 집전체의 적어도 일면에 전극 활물질층을 코팅하여 전극 스트립을 형성하는 제1단계; 상기 전극 스트립을 스탭-바이-스탭 방식으로 이송하면서 순차적인 제1블랭킹(blanking)을 실시하여 전극 스트립으로부터 다수의 단위 전극셀을 부분적으로 분리 형성하는 제2단계; 상기 다수의 단위 전극셀을 연속적으로 이송하면서 양면에 분리막을 형성하는 제3단계; 및 상기 분리막이 형성된 다수의 단위 전극셀을 스탭-바이-스탭 방식으로 이송하면서 순차적인 제2블랭킹(blanking)을 실시하여 다수의 단위 전극셀을 전극 스트립으로부터 완전 분리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