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더블 영상표시장치의 보호케이스

    公开(公告)号:WO2020116869A1

    公开(公告)日:2020-06-11

    申请号:PCT/KR2019/016795

    申请日:2019-11-29

    Inventor: 임유섭

    Abstract: 접힘 상태시 내측면의 간격이 접힘 발생 축으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좁아지는 콘(Cone) 형상의 폴딩 공간 간극을 갖는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의 보호케이스가 개시된다. 본 발명은 상기 폴딩 바깥면1을 감싸는 고정면1; 및 상기 폴더블 몸체의 둘레면 일부를 감싸되, 상기 폴딩 공간 간극 방향으로 소정 길이만큼 더 돌출되는 폴딩 공간 경사면1이 형성된 폴딩 공간 돌출 둘레면1;을 구비하는 보호케이스1; 및 상기 폴딩 바깥면2를 감싸는 고정면2; 및 상기 폴더블 몸체의 둘레면 일부를 감싸되, 상기 폴딩 공간 간극 방향으로 소정 길이만큼 더 돌출되는 폴딩 공간 경사면2가 형성된 폴딩 공간 돌출 둘레면2;를 구비하는 보호케이스2;를 구비하되, 상기 폴딩 공간 돌출 둘레면1 및 상기 폴딩 공간 돌출 둘레면2의 돌출 높이는 접힘 발생 축으로부터 멀어지며 낮아진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할 때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의 접힘 상태시 허용 범위 이상의 외력 작용으로 인한 힌지 파손 및 폴딩 안쪽면 측에 형성된 폴딩 공간 간극으로 유입되는 이물질에 의한 화면표시면의 긁힘, 찍힘, 봉지 손상등을 방지할 수 있다.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의 폴딩공간 부재

    公开(公告)号:WO2020101341A1

    公开(公告)日:2020-05-22

    申请号:PCT/KR2019/015414

    申请日:2019-11-13

    Inventor: 임유섭

    Abstract: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의 폴딩공간 부재가 개시된다. 본 발명은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의 접힘 상태시 허용 범위 이상의 외력 작용으로 인한 힌지 파손 및 폴딩 안쪽면 측에 형성된 폴딩 공간 간극으로 유입되는 이물질에 의한 화면표시면의 긁힘, 찍힘, 봉지 손상등을 방지하기 위해 적용되는 부재로서,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에 탈부착 가능한 악세서리 형태로 구현되거나 또는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의 일부분으로,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접힘 상태시 힌지 부분에 외력이 가해져도 폴딩 공간 삽입물 및 폴딩 공간 지지물이 외력을 지탱하고 분산시키고 폴딩 공간 간극을 폐쇄시는 역할을 한다.

    키보드가 구비된 영상표시장치 및 이를 위한 키보드유닛

    公开(公告)号:WO2019027213A1

    公开(公告)日:2019-02-07

    申请号:PCT/KR2018/008649

    申请日:2018-07-30

    Inventor: 임유섭

    Abstract: 본 발명은 대화면 및 휴대성을 만족시킬 수 있는 유연성있는 표시장치가 구비된 폴더블 영상표시장치 또는 폴더블 및 롤러블 복합적용 영상표시장치에 있어서 영상표시장치의 최소화 상태시 영상표시장치를 이루는 몸체의 일부분에 두께 증가없이 탈부착 키보드유닛이 장착되어 영상표시장치와 함께 단일 구성품을 이루어 휴대되고 영상표시장치의 부분 펼침 또는 완전 펼침 상태에서는 키보드유닛이 분리되어 키보드입력을 수행함과 더불어 키보드유닛에 적용된 카메라유닛이 사용자의 한손 동작을 인식하여 마우스 없이도 노트북 또는 데스크탑과 같은 생산성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키보드가 구비된 영상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폴더블 영상표시장치
    4.
    发明申请

    公开(公告)号:WO2021090983A1

    公开(公告)日:2021-05-14

    申请号:PCT/KR2019/015024

    申请日:2019-11-07

    Inventor: 임유섭

    Abstract: 본 발명은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이용해 접힘 및 펼침 상태와 무관하게 전 방향에 대한 화면 표시 및 음향 재생을 가능케하며, 몸체의 접힘시 생성되는 가변 공간에 스피커를 적용해 저음 발생을 증대시킨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화면 투과창이 적용된 하부 커버를 갖는 유연성있는 표시장치가 구비된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의 보호케이스
    5.
    发明申请
    화면 투과창이 적용된 하부 커버를 갖는 유연성있는 표시장치가 구비된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의 보호케이스 审中-公开
    一种具有柔性显示装置的折叠式图像显示装置的保护壳,所述柔性显示装置具有应用了屏幕传送窗的下盖

    公开(公告)号:WO2018080116A1

    公开(公告)日:2018-05-03

    申请号:PCT/KR2017/011705

    申请日:2017-10-23

    Inventor: 임유섭

    Abstract: 본 발명은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에 적용되어도 접힘 축을 중심으로 화면 표시영역의 접힘 및 펼침이 간섭받지 않고 자유로이 수행될 수 있는 다이어리형 케이스 또는 범퍼 일체형 케이스의 하부 커버를 열지 않고도 접힘 상태로 하부 커버 내측에 수납되어 활성화되어있는 유연성있는 영상표시장치의 하부면 영상정보를 사용자가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부 커버에 화면 투과창이 적용된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의 보호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Abstract translation:

    本发明可以自由地不受干涉折叠来执行,并且在屏幕显示区的中心的展开日记型外壳或保险杠酮壳体的下盖可以被施加到了折叠视频显示装置的折叠轴线 它涉及一种柔性在折叠状态下使被容纳在所述下盖不打开折叠视频显示装置的用户的出保护壳的内部和应用很容易地在下盖屏幕传输窗口,以确定该视频显示信息的下表面图像 。

    다층 표시장치를 구비한 영상표시장치

    公开(公告)号:WO2019059678A1

    公开(公告)日:2019-03-28

    申请号:PCT/KR2018/011150

    申请日:2018-09-20

    Inventor: 임유섭

    CPC classification number: H04M1/027 H04M2201/34

    Abstract: 본 발명은 고정몸체의 한쪽 일면에 전자잉크 표시장치를 포함하는 표시장치1 및 투명한 표시장치와 같이 서로 다른 특성을 갖는 2종의 표시장치가 고정몸체의 일면에 적층 적용되는 다층 표시장치를 구비한 영상표시장치로서 제어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표시장치1 측으로의 빛 유입과 표시장치1 측으로 부터의 빛 유출을 선택적으로 차단 또는 투과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광 셔터가 적용된 다층 표시장치를 구비한 영상표시장치이다.

    롤더블 영상표시장치
    7.
    发明申请

    公开(公告)号:WO2018186631A1

    公开(公告)日:2018-10-11

    申请号:PCT/KR2018/003832

    申请日:2018-04-02

    Inventor: 임유섭

    Abstract: 본 발명은 플렉시블 OLED 및 전자종이와 같이 휘어짐이 자유로운 유연성있는 표시장치(Flexible Display Mean)의 일측 끝단은 접힘(Folding) 방식이 적용되고 반대측 끝단은 롤러를 이용한 감김(Rolling) 방식 또는 슬라이딩 방식이 함께 적용된 영상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유연성있는 표시장치의 일측 끝단은 Rolling 기능이 적용되는 반대 측 끝단에 영향을 받지 않는 상태로 In-Folding 또는 Out-Folding 기능이 적용되고 Rolling 기능이 적용되는 반대측 부분도 Folding 기능이 적용되는 반대편 부분에 영향을 받지 않고 각각 독립적인 Folding 및 Rolling 기능의 구현이 자유로운 영상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펼침 상태 유지가 가능한 보호케이스

    公开(公告)号:WO2020180058A1

    公开(公告)日:2020-09-10

    申请号:PCT/KR2020/002911

    申请日:2020-02-28

    Inventor: 임유섭

    Abstract: 펼침 상태 유지가 가능한 보호케이스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의한 펼침 상태 유지가 가능한 보호케이스는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의 보호 기능과 함께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의 펼침 상태를 선택적으로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할 때 인폴딩 경우에는 평면 펼침 상태의 유지 또는 노트북 모드의 펼침 상태 유지가 가능하고 아웃폴딩 경우에는 평면 펼침 상태의 유지 또는 텐트 모드의 펼침 상태 유지가 가능하다.

Patent Agency Rank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