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본 발명은 조석주기마다 배수, 발전대기, 발전 및 배수대기의 순서로 운영되도록 수차 및 수문을 제어하는 운영계획을 수립하되, 조석주기마다 변동되는 조위 자료에 근거하여 주석주기마다 최대 발전량을 얻을 수 있도록 운영계획을 수립하며, 운영계획을 수립하는 데 있어서 발전량 산정 횟수를 최소한으로 줄이면서 최대 발전량을 위한 운영조건을 얻을 수 있는 단류식 창조 조력발전 최적운영 예측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최대 발전량을 확보할 수 있는 발전시의 최적 발전개시수두차 및 배수시의 최적 수문개폐수두차의 탐색구간에 절점을 정하여 최적해가 있는 구간을 선택하는 구간 탐색단계를 반복 수행하며, 최적해에 신속하게 접근하는 절점 선택방식과 정확한 구간 선택방식을 채용한다.
Abstract:
본 발명은 굴착환경이 개착하기에 불가능하거나 곤란한 상수도 소구경관로의 이음관(pipe elbows) 등이 매설된 노후지중관의 양단을 굴착하여 신 지중관으로 교체할 수 있는 지중관의 비개착식 교체기에 관한 것으로, 장비굴착이 곤란하거나 불가능한 노후 지중관을 교체하기 위해 지중관이 묻힌 지역을 전면적으로 굴착하지 않고 양 단면만 굴착한 상태에서도 매설된 지중관의 파쇄 및/또는 교체작업과 동시에 신 지중관을 삽입할 수 있으며, 견인부가 위치한 굴착면에서 견인와이어 진행방향을 수평방향으로 전환할 수 있어서 노후관이 금속재질일 경우에도 도로통행에 불편을 최소화하는 방향으로 노후관을 눕혀서 견인하는 작업이 가능하다.
Abstract:
본 발명은, 단일 반응기를 이용한 슬러지 침강-비내생 호흡율 복합측정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부가 개구된 원통형 용기 형상으로 형성되며, 길이 방향 일측 내주연 및 외주연이 중심으로부터 방사상 외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보조셀을 포함하는 측정셀; 상기 측정셀에 구비되는 제 1 농도 측정 센서와, 상기 보조셀에 구비되는 제 2 농도 측정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농도 측정 센서 및 상기 제 2 농도 측정 센서가 결합되는 센서 지지대를 포함하는 농도 측정부; 승강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센서 승강부; 상기 측정셀에 측정하고자 하는 하수를 공급하는 워터 펌프; 상기 측정셀로부터 측정이 완료된 하수를 배출하는 밸브; 및 상기 하수의 부유물 농도를 측정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하며, 단일 반응기를 이용하여 슬러지 침강 및 비내생 호흡율을 신속히 측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고, 측정셀의 내부와 연통되되 측정셀의 직경보다 작은 폭을 갖는 보조셀을 포함하는 Q-타입의 실린더 및 측정셀과 보조셀에 구비된 듀얼 센서를 이용하여 하수 내 부유물의 농도가 높은 경우에도 용이하게 부유물의 농도를 측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Abstract:
본 발명은 약품투입유닛어셈블리의 탈·부착이 용이하고, 단수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약품투입유닛어셈블리의 점검이 가능하며, 상기 약품투입유닛어셈블리가 상기 무동력관내혼화장치의 내부를 흐르는 피혼합물질의 유속에 의한 영향을 최소한으로 하고, 시료채취유닛어셈블리를 이용하여 상기 무동력관내혼화장치로부터 배출되는 피혼합물질에 대한 약품의 혼화율을 측정할 수 있으며, 청소용개방홀을 이용하여 무동력관내혼화장치의 내부에 침전되는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무동력관내혼화장치 및 무동력관내혼화장치 작동방법을 개시(introduce)한다. 상기 무동력관내혼화장치는, 유입관, 혼합관, 배출관, 약품투입유닛어셈블리 및 청소용커버를 포함한다. 상기 무동력관내혼화장치 작동방법은, 제7항에 기재된 무동력관내혼화장치를 이용하여 약품을 상기 유입관에 투입하거나 상기 배출관으로부터 배출되는 액체시료를 채취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약품투입유닛어셈블리을 이용하여 상기 무동력관내혼화장치의 내부에 약품을 투입하는 약품투입제어단계 및 상기 시료채취유닛어셈블리을 이용하여 상기 무동력관내혼화장치로부터 배출되는 액체의 일부를 채취하는 시료채취제어단계를 포함한다.
Abstract:
본 발명은 강수량 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원통형의 몸체(13) 하부에 깔대기 형상의 집수부(11) 및 배수관(12)을 가지는 수수구(10)와, 상기 원통형의 몸체(13) 내측벽에 설치되어 상기 수수구(10) 내부의 적설을 감지하는 광감지부(20)와, 상기 집수부(11)의 바닥면 및 배수관(12)의 벽체에 설치되어 상기 광감지부(20)의 적설신호를 인가받아 작동되는 히팅부(25)와, 상기 수수구(10)의 배수관(12)에 수직으로 연결되는 연결관로(30)상에 체결되는 회전식 유량공급부(40)와, 상기 회전식 유량공급부(40) 하부의 연결관로(30)와 체결되는 배출관로(50)에 마련되어 유량을 계측하는 유량측정부(6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bstract:
본 발명은 펌프의 가변형 임펠러에 관한 것으로, 회전축이 장착되는 허브; 상기 허브를 중심으로 상기 허브로부터 외측을 향해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베인; 및 복수의 상기 베인에 착탈되어, 상기 베인의 길이를 가변 조절하는 하나 이상의 연장 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bstract:
본 발명은 프레스형 채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 하부가 개방된 채수통과, 상기 채수통의 개방된 상부와 하부를 막는 상단마개 및 하단마개가 구비되고 채수통을 감싸는 형태의 틀로 형성되며 상기 채수통이 상하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범퍼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채수통을 범퍼대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함으로써, 채수통의 파손 및 누수를 방지하고, 채수통의 세척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상기 채수통이 범퍼대의 중심부에서 상단마개 및 하단마개로부터 일정간격이 형성되어 상기 채수통의 상, 하부에서 채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채수장치가 목적지 수심에 도달되면 하강하는 메신저에 의해 범퍼대에서 고정되어 있던 상단마개가 하부로 이동하며 상기 상단마개 및 하단마개에 의해 채수통이 밀폐되는 일체 슬라이딩 구조로 이루어져 채수 분석의 정확도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프레스형 채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Abstract:
본 발명은 관로시공 겸용 버팀대 및 이를 이용한 흙막이와 지중 관로 시공 공법에 관한 것으로, 버팀대를 통해 흙막이 벽체를 안정적으로 지지함과 더불어 길이에 상관없이 관로를 편리하고 신속하게 지중에 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관로시공 겸용 버팀대는, 서로 마주하는 흙막이 벽체에 각각 고정되어 상기 흙막이 벽체를 시공 상태로 지지하는 제1,2벽체측 버팀보(110,120)와; 상기 제1,2벽체측 버팀보의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제1,2벽체측 버팀보와 결합 상태를 유지하면서 관로를 지중에 시공하도록 하는 버팀겸용 관로 소켓부(130)를 포함하고, 상기 버팀겸용 관로 소켓부는, 상기 제1,2벽체측 버팀보의 사이에 상하로 배열되면서 상기 제1,2벽체측 버팀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개폐식 하부 버팀보(131) 및 개폐식 상부 버팀보(132)로 이루어지며, 이에 의하여 상기 제1,2버팀대가 상기 흙막이 벽체에 고정되고 상기 개폐식 하부 버팀보와 개폐식 상부 버팀보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제1,2버팀대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관로를 상기 흙막이 벽체 사이의 지중에 시공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의한 관로시공 겸용 버팀대를 이용한 흙막이와 지중 관로 시공 공법은, 지중에 관로의 배관방향을 따라 상호 간에 일정 거리를 두고 흙막이 벽체를 설치하는 제1단계와; 상기 제1단계에서 시공된 흙막이 벽체 사이의 공간에 청구항 1에 의한 관로시공 겸용 버팀대를 일정 거리를 두고 삽입한 후 상기 관로시공 겸용 버팀대의 제1,2벽체측 버팀보를 상기 흙막이 벽체에 각각 고정하는 제2단계와; 상기 제2단계 이후 상기 흙막이 벽체 사이의 지중에 관로를 삽입 시공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3단계는, 상기 관로시공 겸용 버팀대의 버팀겸용 관로 소켓부의 개폐식 상부 버팀보의 일측 이상을 상기 제1,2벽체측 버팀보에서 분리하여 상기 개폐식 하부 버팀보의 상부가 노출되도록 한 후 상기 개폐식 하부 버팀보 위에 관로를 안착하는 제3-1단계, 상기 제3-1단계 이후 상기 개폐식 상부 버팀보를 덮어 상기 제1,2벽체측 버팀보에 연결하는 제3-2단계, 상기 제3-2단계를 통해 상기 개폐식 상부 버팀보를 상기 제1,2벽체측 버팀보에 연결하여 상기 흙막이 벽체를 지지하는 상태에서 상기 개폐식 하부 버팀보의 일측 이상을 상기 제1,2벽체측 버팀보에서 분리하여 상기 개폐식 하부 버팀보에 안착된 관로를 지중에 삽입하는 제3-3단계, 상기 흙막이 벽체 사이의 공간을 되메우기하는 제3-4단계, 상기 관로시공 겸용 버팀대를 철거 및 마무리하는 제3-5단계를 포함한다.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고도정수처리장에 사용하는 밸브, 파이프 또는 오존접촉조의 라이닝을 위한 내오존성 폴리우레탄 조성물은 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와 폴리테트라메틸렌 에테르 글리콜로 이루어지는 폴리우레탄 프리폴리머 100 중량부; 6-메틸-2,4-비스(메틸티오)페닐렌-1,3-디아민 8∼14 중량부; 및 벤조페논 또는 벤조트리아졸 0.8∼2.8 중량부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고도정수처리장에 사용하는 밸브, 파이프 또는 오존접촉조의 라이닝을 위한 내오존성 폴리우레탄 조성물의 제조 방법은 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와 폴리테트라메틸렌 에테르 글리콜로 이루어지는 폴리우레탄 프리폴리머 100 중량부에 벤조페논 또는 벤조트리아졸 0.8∼2.8 중량부를 혼합하여 90∼100 ℃에서 25∼35분간 교반하고; 그리고 상기 교반액에 6-메틸-2,4-비스(메틸티오)페닐렌-1,3-디아민 8∼14 중량부를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Abstract:
본 발명은 종래 금속 산화물 피뢰기(MOSA : Metal-Oxide Surge Arrester)의 누설전류를 측정하는 데 사용되어 왔던 방법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전압을 측정하지 않고, 피뢰기의 누설전류만을 측정하여, 누설전류 중에 포함된 저항성 누설전류 성분을 산정해내는 피뢰기 저항성 누설전류 검출 장치 및 검출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인가 전압이 0V일 시에 전체 누설전류(I T )에 발현되는 특징적 패턴에 근거한 패턴 분석을 수행하여 기준점을 선정하는 기준점 탐색 단계(S20)와, 기준점에서 시작하는 전체 누설전류(I T )를 푸리에 급수로 전개하여 저항성 누설전류(I R )를 산정하는 저항성 누설전류 산정 단계(S30)와, 피뢰기(1)의 비직선성 저항 특성에 따른 저항성 누설전류(I R )의 특징적 패턴을 보일 때까지 기준점를 교정하여 저항성 누설전류(I R )를 재산정하게 하는 기준점 검증/교정 단계(S40, S41)를 수행하고, 교정 완료한 기준점으로 산정된 저항성 누설전류(I R )를 피뢰기(1)의 저항성 누설전류로 확정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