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본 발명은 다른 이동통신단말기의 인증 정보를 이용하는 종단 단말기에 대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방법, 서비스 서버, 이동통신단말기, 종단 단말기 및 저장 매체에 관한 것으로, 종단 단말기가 갖는 인증 정보가 현재 연결된 이동통신단말기의 인증 정보가 아닌 경우에도 종단 단말기가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제공 시스템은, 근거리 통신망을 통해 제1이동통신단말기와 제2이동통신단말기에 연결되고, 제2이동통신단말기를 통해 서비스 서버에 연결되되 제1이동통신단말기의 인증 정보를 사용하여 서비스를 이용하는 종단 단말기; 근거리 통신망을 통해 상기 종단 단말기에 연결되고 이동통신망을 통해 서비스 서버와 연결되며, 제1이동통신단말기의 인증 정보를 사용하는 종단 단말기를 상기 서비스 서버에 연결시키는 제2이동통신단말기; 및 이동통신망을 통해 상기 제1이동통신단말기와 제2이동통신단말기에 연결되며, 상기 제1이동통신단말기의 인증 정보를 사용하는 종단 단말기가 제2이동통신단말기를 통해 서비스를 이용하도록 인증하는 서비스 서버;를 포함한다.
Abstract:
본 발명은 위젯(Widget) 실행을 위한 사용자 단말기와 스마트 카드 간 연동 시스템 및 그 방법을 개시한다. 즉, 스마트 카드에 내장된 위젯 UI 프로그램에 대한 다운로드 설정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 내부에서 관리하도록 구현함으로써, 사용자 단말기는 스마트 카드로부터 별도의 요청이 없더라도 상기 다운로드 설정 정보를 토대로 프로그램 제공 서버로부터 업데이트 대상 위젯 UI(User Interface) 데이터를 다운로드받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위젯 UI 프로그램의 업데이트 시 사용자 단말기와 스마트 카드 간에 주기적인 통신이 수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 카드에 내장된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준비하기 위한 단말기와 스마트 카드 간 인터페이스 시스템 및 그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스마트 카드를 개시한다. 즉, 스마트 카드에 내장된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시 연동 요구되는 다수의 디바이스 리소스를 구비하는 단말기, 및 범용 가입자 인증 모듈(USIM, Universal Subscriber Identify Module)이 내장되며, 단말기로부터 작성된 디바이스 리소스 리스트를 수신하여 이를 토대로 내장된 다수의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에 대해 서비스 지원 단말기를 고려한 선별적인 실행을 준비하는 스마트 카드를 포함하는 구성을 제시함으로써, 스마트 카드에 내장된 다수의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에 대해, 단말기에 구비된 디바이스 리소스 여부에 따른 선별적인 실행이 가능함에 따라, 장착 단말기 기종 및 제조사별 성능 차이를 고려하여 단말기 성능에 적합한 서비스의 제공이 가능하다.
Abstract:
본 발명은 단말기와 범용 가입자 인증 모듈(USIM, Universal Subscriber Identify Module)이 내장된 스마트 카드 간 인터페이스 시스템 및 그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스마트 카드를 개시한다. 즉, 하나 이상의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내장하며, 단말기의 요청에 따라 상기 특정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 실행에 따른 출력 값을 상기 단말기에 제공하여 특정 입출력 디바이스에 전달 요청하는 스마트 카드의 구성을 제시함으로써, 단말기와 스마트 카드 사이의 새로운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스마트 카드 내부에서의 서비스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실행 과정을 정의할 수 있다.
Abstract:
본 발명은 시공간적 복잡도를 이용한 부호화 모드 결정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부호화 모드를 결정하는 장치에 있어서, 매크로 블록의 시간적 복잡도를 계산하는 시간적 복잡도 계산부; 및 시간적 복잡도를 이용하여 부호화 모드를 결정하는 모드 결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간적 복잡도를 이용한 부호화 모드 결정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매크로 블록에 대한 시간적 복잡도와 공간적 복잡도를 더욱 정확하게 계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를 이용하여 최적의 부호화 모드를 선별함으로써 율-왜곡 최적화 기법을 적용할 때의 계산의 복잡도를 줄이고 처리 속도를 향상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