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형 완구는, 소정의 형태를 가지는 제1 상태와, 상기 소정의 형태와 다른 형태를 가지는 제2 상태로 변형하도록 구성되는 변형체를 포함한다. 상기 변형체는, 하측면을 가진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프레임부의 상기 하측면 중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구성되는 제1 변형부; 및 상기 프레임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제1 변형부의 하측의 표면 중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구성되는 제2 변형부를 포함한다.
Abstract:
다양한 형태로 변형 가능한 변형 완구 및 변형 완구를 포함하는 완구 세트가 제공된다. 변형 완구는 제1 상태와 제2 상태로 변형하도록 구성되는 변형체를 포함한다. 변형체는, 프레임부; 및 프레임부에 대해 회전 가능한 측방 변형부를 포함한다. 측방 변형부는, 프레임부에 지지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부; 지지부에 대해 제1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부에 결합되는 제1 회전부; 및 제1 회전부에 대해 제2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제1 회전부에 결합되는 제2 회전부를 포함한다. 제1 상태에서, 제2 회전부는 제1 회전부의 적어도 일부 및 지지부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구성되고, 제2 상태에서, 제2 회전축의 위치는 제1 상태에서의 제2 회전축의 위치보다 지지 회전축으로부터 멀어지도록 구성된다.
Abstract:
본 발명은 자석이 삽입되도록 구성된 블록들을 조합시켜 다양한 조형물을 만들어 볼 수 있도록 하는 자석블록완구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석블록완구(10)는 자석(16)이 각각 결합되는 도형 자석블록(12)과 철물(17)이 각각 결합되는 캐릭터 블록(14)이 다수개의 블록들로 이루어져 아동이 도형 자석블록(12)과 캐릭터 블록(14)을 서로 연결시켜 임의의 구조체를 만들어 볼 수 있도록 한다. 이 자석블록완구(10)는 자석블록들로 구조체를 형성시 도형 자석블록(12)에 각각 결합된 자석(16)과 캐릭터 블록(14)에 각각에 결합된 철물(17)에 의해 연결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아동이 도형 자석블록(12)과 캐릭터 블록(14) 조합시켜 캐릭터 이미지가 포함되는 구조체를 만들어 볼 수 있도록 한다.
Abstract translation:< p num =“0000”>本发明提供了一种磁块玩具,其中组成用于插入磁体的块来制造各种模制件。 根据本发明的磁块玩具10的特征在于,其中磁石16分别连接到其上的图形磁体块12和硬件物体17的字符块14由多个块构成, 块12和字符块14彼此连接以形成任意结构。 该磁块玩具10可以通过连接到图形块14的硬件17连接到分别连接到图形磁体块12的磁体16和字符块14,当该结构由磁体块 因此,孩子可以将图形磁块12和字符块14组合起来,以形成包括字符图像的结构。 P>
Abstract:
본 고안은 블록완구의 입체 블록끼리 한 면의 일부 씩 서로 맞닿게 조립하기 위한 결합부재가 구비된 블록완구의 입체블록에 관한 것으로, 블록 완구의 각 입체 블록의 하나 이상의 모서리 중간에 형성되는 설치홈(101)에 결합부재(200)가 삽입되어 고정되며, 상기 결합부재(200)는 상부 부품(300), 중간 부품(400) 및 하부 부품(500)을 포함한다.
Abstract:
An electronic building toy component having a main body having opposing top and bottom surfaces and a thickness and having wiring between the top and bottom surfaces and having a connecting feature at a peripheral edge of the main body. The connecting feature, such as a plug or receptacle that is compatible with other electronic building toy components, allows the electronic building toy component to be electrically coupled with other electronic building toy components, such as batteries, Bluetooth enabled hubs, lights, buzzers, motors, sensors, and other electrical connecting building components. Some components also include slots and taps for engagement with compatible features on other building toy components for mechanical coupling. A Bluetooth enabled hub also allows remote control of electronic building toy components using Bluetooth enabled devices, including smartphones and tablets.
Abstract:
본 발명은 어린이용 놀이완구에 관한 것으로서, 수저완구의 변색과정을 통하여 어린이들이 식물열매의 성장과정을 용이하게 학습할 수 있도록 하며, 어린이들이 음식을 먹을 때 음식의 온도를 시각적으로 학습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어린이용 놀이완구에 있어서, 식물열매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두 개의 분할몸체로 구성되어 조립되고, 사람의 체온이나 따뜻한 음식물과 같이 외부에서 열기가 가해지면 열매가 익은 상태로 변색되게 온도변색염료가 포함되어 형성된 열매몸체와, 상기 열매몸체의 일측에 분리 결합되게 구성되며 음식접촉 시 변색되게 온도변색염료가 포함되어 형성된 음식접촉부로 구성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어린이용 놀이완구를 열매몸체와 음식접촉부에 온도변색염료를 구비함으로써 어린이용 놀이완구의 변색과정을 통하여 어린이들이 식물열매의 성장과정을 용이하게 학습할 수 있으며, 소꿉놀이를 할 수 있도록 형성하였을 때 어린이들이 음식을 먹을 때 음식의 온도를 시각적으로 알 수 있는 것이다.
Abstract:
본 발명은 완구 조립영상 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완구 조립영상 제공방법은 사용자기기가 카메라부가 완구판을 인식하는 단계, 사용자기기의 색상인식부가 인식된 완구판 상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완구조각 각각에 채색된 색상에 대한 제 1 색상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사용자기기의 식별정보추출부가 인식된 완구판으로부터 완구판의 완구식별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사용자기기의 영상생성부가 사용자기기의 메모리부로부터 완구식별정보에 대응되는 제 1 조립영상을 추출하고, 제 1 색상정보와 제 1 조립영상을 이용하여 채색된 적어도 하나의 완구조각이 조립되는 제 2 조립영상을 생성하는 단계 및 사용자기기의 영상재생부가 사용자기기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제 2 조립영상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Abstract:
A hand-driven toy is disclosed herein. The hand-driven toy includes a snowboard having an upper surface and a lower surface; a pair of bindings fixedly secured to the upper surface each of the pair of bindings defining a boot cavity; and a pair of boot members each being configured to be releasably secured to the boot cavity of one of pair of bindings, and each of the pair of boot members having a finger open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