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XR 콘텐츠를 위해 촬영영상에서 객체를 인식 처리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XR 디바이스가 주변 촬영영상과 공간정보를 기초로 일정 구간마다 객체 식별을 수행하여 대표이미지를 클라우드 서버로 전달하고, 클라우드 서버가 대표이미지를 AI 딥러닝 연산에 적용하여 객체 인식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XR 디바이스로 반환하도록 구성함으로써 XR 객체인식을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클라우드 AI 기반의 XR 객체인식 처리 기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XR 디바이스가 촬영영상에서 객체를 식별하고 클라우드 기반으로 객체 인식을 수행하도록 구성함으로써 XR 콘텐츠를 위한 객체인식 과정을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Abstract:
본 발명은 XR 디바이스에 복합 멀티 안테나를 결합하여 XR 디바이스의 경량화를 달성하고자 하는 기술로서, XR 디바이스에 채용되는 블루투스 안테나, NFC 안테나, 와이파이 안테나, 충전 부재에 대응하는 각각의 모듈을 하나의 유닛으로 통합함에 따라 XR 디바이스의 경량화와 소형화를 달성하고자 하는 기술이다. 특히, 얇은 막 형태의 PCB 부재를 통해 슬림화된 XR 디바이스에 대해 복수의 안테나도 하나의 유닛으로 통합함에 따라 무선통신과 충전의 멀티 기능에도 불구하고 오히려 더 경량화된 XR 디바이스를 구현하고자 하는 기술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XR 디바이스의 선단부를 전체적으로 슬림하게 구현함에 따라 그 XR 디바이스를 착용한 유저의 활동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Abstract:
본 발명은 복호화 장치에 의하여 수행되는 복호화 방법에 있어서, 시간 또는 공간적으로 동기화된 복수의 리전(Region)으로 구성되는 현재 픽처 상의 현재 블록의 복호화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복호화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리전에 대응하는 리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현재 블록의 복호화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를 단계를 포함한다.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랜 AP가 리셋이나 동작 전원의 턴온을 통해 무선랜 대역(예: 2.4 GHz, 5 GHz)에서 무선랜 채널을 설정할 때 최적환경의 무선랜 채널을 선택하도록 제어하는 기술로서, 자신의 무선랜 채널을 설정하려는 개시 무선랜 AP가 그 주변에서 현재 동작하고 있는 여러 개의 현재활동 무선랜 AP로부터 제공되는 비콘 프레임을 분석하여 최적환경의 무선랜 채널을 선택하도록 제어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설치 또는 리셋에 의해 활동을 시작할 때 개시 무선랜 AP가 주변에서 현재 활동하고 있는 무선랜 AP의 현재 무선랜 채널을 분석함으로써 통신환경이 가장 양호한 무선랜 채널을 선택할 가능성이 높아지는 장점이 있다.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랜 AP와 하나이상의 스테이션이 접속된 무선랜 네트워크에서 무선랜 AP가 업링크/다운링크 에어타임을 바람직하게는 SSID 별로 제어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미리 설정된 에어타임 관리주기(예: 100 msec 비트 프레임)별로 임계시간을 설정하고 실시간 모니터링한 업링크/다운링크 에어타임과 각각의 임계시간을 비교하여 그 모니터링한 에어타임이 임계시간을 초과하면 그에 따라 무선랜 네트워크의 트래픽을 제어하여 업링크/다운링크 에어타임이 조정되도록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SSID 별로 업링크/다운링크 에어타임을 선택적으로 제어함으로써 특정 서비스 그룹(예: 특정 SSID)에 속하는 사용자에게 일정 수준 이상의 통신 퀄리티(Qos)를 보장해 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 장치에서 구현되는 복수의 동작 시나리오 별로 액티브 동작하는 기능모듈을 식별하고 현재의 동작 시나리오에는 불필요하거나 적은 리소스만 필요한 기능모듈에 대해서는 전력 소모를 차단 또는 감소시킴으로써 전체 전력소비를 저감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수의 기능모듈을 장착하여 다양하고 복잡한 기능을 지원하면서도 전체 소비전력은 실효적으로 낮게 유지함으로써 전자 장치의 전력 소비 효율을 제고할 수 있고 저용량 파워모듈을 장착할 수 있게 되어 제품의 크기, 무게, 가격의 측면에서 종래기술에 비해 개선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Abstract:
본 발명은 메인 프로세서, 이더넷 스위치를 구비하는 액세스포인트에서 이더넷 스위치의 포트미러링에 기초하여 메인 프로세서가 동작 대기 상태인 스탠바이 모드와 동작 모드인 액티브 모드를 선택적으로 수행함으로써 액세스포인트의 소비전력을 절감하도록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액세스포인트에 보조 프로세서를 구비하고 이더넷 스위치가 외부접속 포트와 송수신하는 데이터 패킷을 보조 프로세서에 포트미러링하도록 구성하면 보조 프로세서는 데이터 패킷을 분석하여 IP 패킷인 경우에 평소에 스탠바이 모드를 유지하고 있는 메인 프로세서에 인터럽트 신호를 보내 메인 프로세서가 효과적으로 액티브 모드로 전환하도록 함으로써 액세스포인트를 저전력 제어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통신에서 손실 패킷을 효율적으로 복구할 수 있도록 매체접근제어(MAC) 레이어를 구성하는 기술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의 패킷 손실 저감 방법은, 패킷 전송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패킷을 전송하는 단계; 패킷을 전송하는 단계에서 패킷의 전송을 실패하는 경우, 패킷을 재전송 큐에 삽입하는 큐 삽입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Abstract:
본 발명은 DVB-T2/S2/C2 등에서 채용되는 파이핑 포맷의 방송신호를 메모리공유 기반으로 처리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유럽향 디지털TV의 차세대 기술 표준으로 제정된 DVB-T2/S2/C2 등에서 파이핑 방식으로 전달되는 방송스트림 신호를 수신장치(예: 셋톱박스)에서 처리할 때 전송매체를 기준으로 데이터 파일을 읽어 처리하는 방식인 파일모드와 이더넷으로 전달되는 방송스트림을 실시간으로 재생하는 방식인 이더넷모드로 구분 모델링하고 다시 데이터필드 포맷을 기준으로 정상모드(NM 모드)와 고효율 모드(HEM 모드)로 구분하여 처리하면서 특히 메모리 공유 기법을 통하여 수신장치의 시스템 부하를 감소시켜 범용운영체제 상에서 구동되는 응용 소프트웨어를 통해 효과적으로 DVB-T2/S2/C2 방송신호를 재생할 수 있도록 해주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Abstract:
본 발명은 프로그램 가이드 표시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일, 시간, 채널을 선택하는 가이드 메뉴를 제공하여 방송 시간 대비 채널별 프로그램 정보와 특정 채널의 프로그램 편성 정보를 간단한 조작만으로 접근 가능하도록 한 프로그램 가이드 표시 기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그램 가이드 표시 방법은 방송 신호로부터 방송 프로그램 정보를 수집하고, 그 수집된 방송 프로그램 정보를 가공하여 프로그램 가이드를 제공하는 프로그램 가이드 표시 방법에 있어서, (a) 일, 시간, 채널을 선택하기 위한 가이드 메뉴를 제공하는 단계; (b) 가이드 메뉴에서 특정의 일 및 시간이 선택되면 수집된 방송 프로그램 정보로부터 선택된 일 및 시간에 해당하는 채널 정보, 프로그램 정보, 방송 시간 정보를 추출해서 방송 시간에 기반하는 채널별 프로그램 리스트로 가공하여 제공하는 단계; 및 (c) 가이드 메뉴에서 특정의 채널 번호가 선택되면 수집된 방송 프로그램 정보로부터 선택된 채널 번호에 해당하는 프로그램 편성 정보를 추출해서 채널에 기반하는 프로그램 편성 리스트로 가공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