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본 발명은 플러그 커넥터 및 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복수개의 컨택트, 컨택트들이 결합되는 절연부, 절연부가 결합된 쉘, 쉘이 결합된 커버, 및 커버에 결합된 차단부를 포함하고, 쉘은 일체로 형성된 쉘본체 및 플러그 커넥터가 삽입되도록 쉘본체를 관통하여 형성된 삽입홈을 포함하며, 절연부는 후면이 삽입홈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쉘본체에 설치되고, 차단부는 삽입홈으로부터 돌출된 절연부의 하면을 가리도록 커버에 결합된 제1차단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차단부재는 상기 기판에 실장되어 접지(Ground)된 차단본체 및 상기 차단본체를 상기 쉘본체에 연결하는 이음부재를 포함하는 리셉터클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Abstract:
플러그 커넥터 및 전자기기에 마련된 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복수개의 컨택트(Contact); 상기 컨택트들이 결합된 절연부; 상기 절연부가 결합된 쉘(Shell); 및 상기 전자기기 및 상기 쉘 사이를 밀폐시키기 위한 실링부를 포함하고, 상기 쉘은 상기 절연부를 수용하기 위한 쉘본체, 및 상기 실링부를 지지하기 위한 제1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지지부는 상기 실링부가 후방으로 이동 가능한 거리가 제한되도록 상기 실링부의 후방에서 상기 실링부를 지지하는 제1후방지지부재; 상기 제1후방지지부재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어서 상기 실링부의 내측면을 지지하는 제1외측지지부재; 상기 제1외측지지부재의 전방에 결합된 제1연결부재; 및 상기 제1연결부재와 상기 쉘본체 각각에 결합되고, 상기 제1외측지지부재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된 제1내측지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쉘본체는 상기 제1외측지지부재와 상기 제1내측지지부재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비해 더 두꺼운 두께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Abstract:
본 발명은 플러그 커넥터와 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제1컨택트부, 플러그 커넥터와 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제2컨택트부, 상기 제1컨택트부와 상기 제2컨택트부가 결합되는 절연부, 상기 절연부가 결합된 쉘, 및 상기 쉘의 내면 및 상기 절연부의 외면 사이를 밀폐시키는 방수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컨택트부는 전원공급을 위한 제1전원컨택트, 및 접지를 위한 제1접지컨택트를 포함하며, 상기 절연부에는 상기 제1전원컨택트 및 상기 제1접지컨택트가 제1축방향을 따라 이격되도록 결합되고, 상기 제1전원컨택트는 플러그 커넥터에 접속되기 위한 제1전원접속부재, 기판에 실장되기 위한 제1전원실장부재, 및 상기 방수부를 형성하기 위한 방수액을 통과시키는 제1전원통과부를 포함하는 리셉터클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Abstract:
플러그 커넥터 및 전자기기에 결합된 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제1축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개의 컨택트, 컨택트들이 결합된 절연부, 절연부가 결합된 쉘 및 절연부에 결합된 미드플레이트를 포함하되, 절연부는 제1축방향에 대해 수직한 제2축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 제1절연부 및 제2절연부를 포함하고, 제1절연부 및 제2절연부는 미드플레이트에 의해 연결되도록 구현된 리셉터클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Abstract:
컨택트 어레이의 구조가 개선된 리셉터클 커넥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는, 인슐레이터; 상기 인슐레이터에 열을 이루며 조립되는 복수의 컨택트 핀을 포함하는 제 1 컨택트 어레이; 상기 제 1 컨택트 어레이와 이격되도록 상기 인슐레이터에 열을 이루며 조립되는 복수의 컨택트 핀을 포함하는 제 2 컨택트 어레이; 및 상기 인슐레이터와 상기 제 1 컨택트 어레이 및 상기 제 2 컨택트 어레이의 조립체를 감싸는 쉘;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컨택트 어레이에 포함된 일부 컨택트 핀의 실장부가 상기 제 1 컨택트 어레이에 포함된 컨택트 핀들의 실장부와 동일한 열에 위치한다.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해 동박은, 리튬 이차전지용 집전체로 적용되는 전해 동박이며, 상기 전해 동박은 190℃ 에서 1시간 동안 어닐링 되었을 때 5.0 내지 18.0 범위에 해당하는 파단특성계수(f)를 가지며, 여기서 상기 파단특성계수(f)는 f={(C-B)/A}×1000 으로 정의되고, 상기 A는 상기 전해 동박에 대한 인장 시험에 있어서 상기 전해 동박의 파단이 개시되는 시점에 전해 동박이 갖는 응력을 나타내고, 상기 B는 상기 전해 동박의 파단이 개시되는 시점에서의 연신율을 나타내며, 상기 C는 상기 전해 동박의 파단이 종료되는 시점에서의 연신율을 나타내고, 상기 전해 동박의 파단이 개시되는 시점은 상기 인장 시험에 있어서 상기 전해 동박의 연신율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던 응력이 감소되기 시작하는 시점에 해당하며, 상기 전해 동박의 파단이 종료되는 시점은 상기 전해 동박이 파괴되어 2 이상의 조각으로 분리되는 시점에 해당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