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The invention is directed to a dispensing device comprising a rigid container, a flexible bladder, and a rigid stopper. The container is adapted to contain a product to be dispensed. The flexible bladder is disposed below and in fluid communication with the container. The bladder comprises a top end, a sidewall extending downwardly from the top end and terminates in a spout. The bladder is in a liquid tight engagement with the container and the product contained in the container is adapted to flow into the bladder. The rigid stopper is disposed within the flexible bladder and comprises a top end, and at least one sidewall extending downwardly from the top end, and terminates in an open bottom end. The stopper comprises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Abstract:
Another exemplary dispenser includes a refill unit and a refill unit frame member. The refill unit frame member has a bracket for receiving a lower portion of the refill unit. A back plate for mounting the dispenser is also included. An actuator is hingedly connected to the bracket. A curved push bar is connected to the actuator. An anvil is connected to the curved push bar. Movement of the actuator toward the back of the dispenser causes the anvil to move toward the front of the dispenser.
Abstract:
A dispensing system that includes a bottle, a valve cap, a dosing cap. The bottle includes a side wall having at least a portion that is flexible. The valve cap regulates the dispensing of a flowable product from bottle into the dosing cap. In particular, flowable product may be dispensed from the bottle into the dosing cap when the dispensing system is in an inverted position and while the dosing cap is attached to valve cap. The valve cap and the dosing cap may support the dispensing system in the inverted position.
Abstract:
본 발명은 치약 디스펜서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치약 디스펜서는, 진공흡입력을 이용하여 치약을 칫솔에 토출하는 치약 디스펜서에 있어서, 외부 측면 둘레를 따라 이음용 플랜지부가 형성되는 원통형상의 상부블럭과, 상기 상부 블럭의 내측에 형성되어 치약튜브의 입구가 내부에 삽입되게 하는 끼움공과, 상기 끼움공의 상부측에서 하부측으로 일방향의 흐름만을 허용하고 상기 끼움공의 하부측에 형성되는 제1 배출노즐, 및 상기 상부블럭에 형성된 플랜지부의 하부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상기 상부블럭의 외부 측면 둘레를 따라 고리모양으로 형성되는 수밀결합용 끼움턱을 구비하는 연질재료의 튜브 삽입부와; 상기 튜브 삽입부의 하부측에서 제1 배출노즐을 통해 배출되는 치약을 받아서 수용하는 치약수용공간이 내부에 형성되는 원통형상의 하부블럭과, 상단이 상기 이음용 플랜지부의 하부면과 접속하고 내부 측면에 상기 수밀결합용 끼움턱이 억지끼움방식으로 결합되는 수밀결합용 끼움홈을 구비하며 상기 하부블럭의 상부에 형성되는 수밀결합부, 및 상기 치약수용공간에서 하부측으로 일방향 흐름만을 허용하고 상기 하부블럭의 하단에 형성되는 제2 배출노즐을 구비하는 연질재료의 치약 배출부와; 치약튜브가 상부로 끼워지고 후면이 벽체에 고정되며, 상기 치약투입부와 상기 치약배출부를 각각 일대일 대응으로 수용하여 고정시키면서 상호간에 서로 분해 조립이 가능하게 나사결합되는 상부 및 하부케이스로 이루어지는 스탠드얼론형 케이스; 및 상기 치약 배출부의 하부에서 상기 스탠드얼론형 케이스에 결합된 채 회전가능하도록 상부 양측에 형성되는 힌지 축, 및 상기 힌지 축을 중심으로 선회하여 상기 치약 배출부의 하부면을 상부측으로 눌러서 진공흡입력을 발생시키는 압박돌기를 구비하고, 사용자가 칫솔로 누르는 경우에 선회하여 상기 치약배출부의 제 2 배출노즐을 통해 치약을 칫솔위로 떨어지게 하는 누름대;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다양한 규격의 치약튜브를 사용할 수 있고, 조립구조를 단순화하면서 동시에 부품수를 줄일 수 있어 그에 따라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치약배출부의 내부에 형성된 치약 수용공간에 공기가 차지 않도록 밀봉을 할수 있으면서도 치약이 골고루 분산되어 수용되게 할 수 있고, 치약의 양을 조절할수 있으면서 치약이 떨어지는 위치를 조절하는 위치보정수단과 서로 영향을 끼치지 않으며, 위치보정수단의 구조를 단순화하면서 사용자에 의해 누름대가 반복적으로 힘을 받더라도 치약이 떨어지는 위치가 변하지 않고, 별도의 외부케이스 내부에 장착이 가능하고 독립적으로 사용이 가능하여 재활용이 용이하다.
Abstract:
Temporary support structures for holding fluid dispensing systems and removable refill units are disclosed herein. The temporary support structures are formed out of flat stock that is cut into desired shapes and has predetermined fold lines. The flat stock may be folded along the predetermined fold lines and assembled into a temporary support structure that includes a base and a tower.
Abstract:
Dispensador de fluidos con doble depósito caracterizado porque el dispensador cuenta con dos depósitos (1) y (2) independientes y separables que presentan la superficie en contacto (13) y (14) con una geometría complementaria, donde cada uno de los depósitos (1) y (2) cuenta con su correspondiente boca de dispensación y relleno (3) y (4) respectivamente, además el dispensador cuenta con unos medios de dispensación y sujeción del extremo superior de los dos depósitos (1) y (2), y con unos medios de retención del extremo inferior de los dos depósitos (1) y (2). Gracias a la configuración descrita, se consigue un dispensador que teniendo dos depósitos cada uno de ellos puede funcionar de manera independiente, donde además la presión ejercida sobre uno de los depósitos no se transmite al adyacente, lo que redunda en una simplificación de las boquillas de cierre.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ube container having an improved residual content recovery, which provides a space for accommodating contents such as detergents, cosmetics, foods, or medicines. The tube container includes a tube body and a tube neck. The tube neck is designed to be removable by being pulled by a user's hand, enabling easy removal of the neck via simple manual manipulation by the user after most of the content within the container is consumed, so even the residual content may be used.
Abstract:
본 발명은 치약 디스펜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칫솔의 가압작용에 의해 자동으로 치약을 토출시키는 치약 디스펜서에 있어서 단순한 구성에 의해 치약의 토출량을 정량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제2결합구의 교체만으로 치약 튜브 배출구의 사이즈에 상관 없이 모든 치약에 사용이 가능한 치약 디스펜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케이스, 튜브결합구, 토출블록, 흡입블록, 결합캡, 분산캡 및 토출가동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치약 디스펜서에 있어서, 상기 분산캡은 흡입블록의 하부에 결합되는 제1분산캡과 상기 제1분산캡에 결합되는 제2분산캡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ube squeez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tube squeezer applicable to tubes made from soft or hard materials with a small size and a simple constructio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serting rod 11 provided with an inserting groove 12 formed along the lengthwise direction of the inserting rod for inserting the end of the tube 21 and a cylindrical fixing plate 13 fixed to one side of the inserting rod 11, wherein a plurality of fixing gaps 14 are arrang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long the circumferential surface for making a fit with one side of the wound tube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