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본 발명은 직각구조의 아릴-페닐(피리딘, 피리미딘)-이미다졸과 아릴-페닐(피리딘, 피리미딘)-피리딘 리간드를 기반으로 하여 이리듐 육-배위 구조체의 금속 착화합물 및 이를 이용한 청색 인광 유기발광소자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금속 착화합물을 발광층의 도펀트 화합물로 포함하는 유기발광소자는 도펀트의 효율 저하 방지 및 여기자에 의한 비발광 분열에 대한 내구성을 가져서 발광 효율, 소자의 안정성 및 수명 특성이 우수하고, 개선된 색좌표에 의한 진한 청색을 구현할 수 있어 다양한 디스플레이 소자에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
Abstract:
이산화탄소 환원용 광촉매가 제공된다. 상기 이산화탄소 환원용 광촉매는 금속 산화물을 포함하는 전자 수용체, 상기 전자 수용체 상에 증착되는 고분자 집광체, 및 상기 전자 수용체 상에 증착되는 금속 촉매를 포함하되, 상기 고분자 집광체가 빛을 흡수하는 경우, 상기 전자 수용체의 전도대(conduction band)를 통해 상기 고분자 집광체로부터 상기 금속 촉매로 전자가 이동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Abstract:
양자점 발광다이오드 패키지에 있어서, 오목홈이 형성된 패키지 본체, 상기 오목홈의 하부면 상에 배치된 금속 기판, 상기 오목홈의 측면 상에 배치된 반사판, 상기 금속 기판 상에 배치된 발광다이오드, 및 상기 발광다이오드를 덮는 광변환층을 포함하되, 상기 광변환층은, 무기산화물 표면의 경화성 관능기와, 가교성 물질이 결합되어 형성된 레진, 및 상기 레진 상에 분산된 양자점을 포함할 수 있다.
Abstract:
유-무기 하이브리드 코팅층에 있어서, 유기물 전구체 및 콜로이드성 실리카 입자를 포함하는 겔 혼합물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겔 혼합물을 가열하여, 제1 혼합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1 혼합 용액 내에 양자점을 첨가하여, 제2 혼합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혼합 용액을 기재 상에 코팅하고, 광을 조사하여 상기 유기물 전구체 및 상기 콜로이드성 실리카 입자가 가교된 고분자 매트릭스를 형성하고, 상기 고분자 매트릭스 내에 상기 양자점이 분산된 코팅층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유기물 전구체는, 디펜타에리트리톨펜타아크릴레이트(DPPA) 또는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아크릴레이트(DPHA)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Abstract:
이리듐 인광소재에 있어서, 이리듐을 포함하는 중심 금속, 및 상기 중심 금속의 2좌 배위자이고, 입체장애 페닐기가 도입된 페닐-피리딘 리간드를 포함하되, 상기 입체장애 페닐은, 상기 리간드의 페닐기의 오르토(ortho) 위치에 도입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은 상기 입체장애 작용기가 도입된 페닐피리딘 리간드를 포함하는 이리듐 인광소재, 그 제조 방법, 및 이의 광물리적 특성에 관한 것이다.
Abstract:
청색 인광소재에 있어서, 이리듐을 포함하는 중심 금속, 및 상기 중심 금속의 2좌 배위자이고, 상기 중심 금속과 이리듐-탄소 결합을 갖는 페닐-이미다조피리딘 리간드를 포함하되, 상기 리간드는, 상기 리간드의 페닐기에 2,6-디메틸페닐 작용기가 도입된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은 이리듐-탄소 결합을 갖고, 입체 장애 작용기가 도입된 페닐-이미다조피리딘 리간드를 포함하는 청색 인광소재, 그 제조 방법, 및 이의 광물리적 특성에 관한 것이다.
Abstract:
본 발명은 글라임 용매를 기반으로 하는 CdSe 코어를 포함하는 코어-쉘 구조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르면, 단순하고 경제적인 공정에 의해서 CdSe 코어를 포함하는 코어-쉘 구조를 제조할 수 있으며, 제조된 구조는 CdSe 함량이 높고, 크기가 균일하며, 특히 높은 안정성으로 인해서 광학 소자 또는 반도체 소자 등의 유연성 플라스틱 기판에 유용하게 코팅되어 사용될 수 있다.
Abstract:
유기 반도체 물질에 의해 표면 처리된 소스 드레인 전극과 드레인 전극을 구비하는 유기 박막 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방법이 개시된다. 표면처리에 의해 전극과 채널 사이의 컨택층이 형성되며, 컨택층은 채널과 동종 또는 이종의 유기 반도체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표면처리된 전극은 채널과의 에너지 벽의 감소로 전하 이동도를 향상시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