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는, 구강 내의 치조골에 천공된 드릴 홀에 식립되며, 외측면에 수나사산이 형성된 몸통부; 및 몸통부의 하단부 영역에서 몸통부의 반경 방향을 따라 적어도 일부분이 절개되어 형성되며, 몸통부가 치조골의 드릴 홀에 식립될 때 치조골이 인입되어 접촉 가능한 치조골접촉절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치조골접촉절개부의 내측으로 드릴 홀의 바닥을 형성하는 치조골 부분이 인입됨으로써 종래에 비해 치조골과의 접촉 면적을 증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치조골접촉절개부의 내측에 뼈 형성 단백질을 결합시키는 경우 치유 기간 동안에 치조골의 성장을 촉진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치조골과의 고정 결합력을 종래보다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다.
Abstract: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는, 구강 내의 치조골에 천공된 드릴 홀에 식립되며, 외측면에 수나사산이 형성된 몸통부; 및 몸통부의 하단면으로부터 내부 방향으로 함몰 형성되어, 몸통부가 치조골의 드릴 홀에 식립될 때 치조골이 인입되어 접촉 가능한 치조골접촉내부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보다 치조골과의 접촉 면적을 현저히 증대시켜 치조골과의 결합력을 종래보다 훨씬 더 증대시킬 수 있다.
Abstract: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는, 구강 내의 치조골에 천공된 드릴 홀에 식립되는 픽스츄어본체; 픽스츄어본체의 외면에 나선형으로 형성되는 수나사부; 및 수나사부의 나선 방향을 따라 수나사부의 두께 방향으로 수나사부에 관통 형성되어, 치조골의 골 형성에 필요한 골 형성 물질이 충전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나사부 충전 관통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픽스츄어에 골 형성 물질, 예를 들면 뼈 형성 단백질(BMP, Bone Morphogenetic Protein)을 충전시킬 수 있어 골융합 기간동안 픽스츄어 주변의 골 형성을 촉진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해 치조골의 골밀도를 향상시킴으로써 치조골에 대한 픽스츄어의 고정력을 종래보다 현저히 강화할 수 있다.
Abstract: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는, 구강 내의 치조골에 천공된 드릴 홀에 식립되며, 외측면의 적어도 일구간에 수나사산이 형성된 픽스츄어몸통; 및 픽스츄어몸통의 중심축을 따라 관통 형성되며, 치조골의 골 형성을 촉진시키기 위한 뼈 형성 물질이 충전되는 제1 충전공간이 마련되는 충전 공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픽스츄어몸통에 형성된 충전 공간부에 뼈 형성을 촉진시키는 뼈 형성 물질, 예를 들면 뼈 형성 단백질(BMP, Bone Morphogenetic Protein)을 시술 중이나 시술 완료 후에도 필요한 경우 계속적으로 충전할 수 있어 골융합 기간동안 픽스츄어몸통 주변의 치조골의 골 형성을 촉진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치조골의 골밀도를 향상시킴으로써 치조골에 대한 픽스츄어의 고정력을 종래보다 강화할 수 있다.
Abstract: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는, 구강 내의 치조골에 천공된 드릴 홀의 하부 영역에 식립되며, 외측면에 형성된 수나사산의 산들을 잇는 가상의 선이 드릴 홀의 축선과 실질적으로 나란하게 마련되는 제1 몸통부; 및 제1 몸통부의 단면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되 제1 몸통부의 수나사산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나사곡선에 의해 마련되는 수나사산이 외측면에 형성되며, 제1 몸통부의 상단부로부터 연장되게 마련되어 드릴 홀의 상부 영역으로 식립되는 제2 몸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치조골에 드릴 홀을 드릴링한 후 최초 식립 시 픽스츄어의 유동을 방지하여 픽스츄어의 식립 방향을 드릴 홀의 축선과 패러럴(parallel)하게 유지함으로써 임플란트의 시술 시 발생될 수 있는 시술 실패를 미리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픽스츄어의 식립 완료 시 고정력을 최대화하여 시술 후 발생할 수 있는 픽스츄어의 유동을 방지하여 임플란트 시술에 대한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Abstract:
이상인산칼슘(Biphasic calcium phosphate, BCP)의 표면에 아미노기(amino group, -NH 2 )를 생성하는 제1 단계, 콜라겐을 용해하여 준비하는 제2 단계, WSC(Water-Soluble Carbodiimide)용액을 제조하는 제3 단계, 용해된 콜라겐과 WSC용액을 혼합 반응시켜 콜라겐의 카복실기(-COOH)를 활성화하는 제4 단계 및 표면에 아미노기(-NH 2 )가 생성된 이상인산칼슘과 카복실기(-COOH)가 활성화된 콜라겐을 아미드(amide) 결합시키는 제5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에 콜라겐이 결합된 이상인산칼슘 골대체재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골대체재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표면에 콜라겐이 결합된 이상인산칼슘 골대체재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골대체재는 골전도성은 유지하면서 재료의 흡수성을 조절하고, 골세포의 증식을 용이하게 하여 초기 골고정력과 생체 친화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Abstract:
포스트 스크루 및 그를 제거하기 위한 포스트 스크루용 리무버 드라이버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포스트 스크루 및 그를 제거하기 위한 포스트 스크루용 리무버 드라이버는, 드라이버 몸체; 및 드라이버 몸체 일측에 마련되며, 픽스츄어로부터 포스트 스크루를 해제하기 위해 포스트 스크루의 스크루 헤드부에 형성된 맞물림홈에 부분적으로 맞물림 결합되는 결합툴(Tool)을 포함하며, 결합툴의 일부분은 응력을 분산시키기 위해 결합툴의 길이 방향에 교차되는 횡단면의 면적이 드라이버 몸체를 향해 점진적으로 증가하며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지대주를 픽스츄어로부터 분리하기 위해 지대주와 픽스츄어를 상호 체결시키는 포스트 스크루를 리무버 드라이버를 이용하여 제거 시 포스트 스크루와 리무버 드라이버가 상호 밀착되는 억지 끼워맞춤이 가능해지고, 리무버 드라이버에 전달되는 응력을 분산시켜 스트레스를 줄일 수 있어 리무버 드라이버의 파손을 방지하면서도 지대주를 신속하게 분리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Abstract: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 및 그를 구비하는 임플란트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임플란트 시스템은, 제1 몸체부와, 제1 몸체부의 외면 둘레 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형성되되 단절되는 구간 없이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제1 연속 나사부를 구비하는 제1 픽스츄어; 및 제1 몸체부와 동일한 제2 몸체부와, 제2 몸체부의 외면 둘레 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형성되되 제1 연속 나사부와는 상이한 외경을 갖는 제2 연속 나사부를 구비하는 제2 픽스츄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초기 픽스츄어의 식립이 실패하더라도 다시 천공 작업 없이 바로 다음 픽스츄어를 식립할 수 있어 종래보다 임플란트 시술을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다.
Abstract: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은, 드릴몸체; 및 드릴몸체의 하단면에 형성되어 드릴몸체의 회전 시 치조골에 형성된 홀 내부의 잔여뼈를 절삭하되 원주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 배치되는 다수의 절삭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치조골에 형성된 홀에 나사산을 형성하기 전에 홀의 내부에 남아있는 잔여뼈, 특히 홀 내부 바닥 부분에 남아있는 잔여뼈를 절삭하여 제거할 수 있다.
Abstract: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는, 몸체부; 및 몸체부의 외면에 나선형으로 형성되되 몸체부로부터의 산의 높이가 서로 다르게 형성되는 나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치조골의 형태가 그 입구는 일반적이지 못하게 좁은 반면 하부 영역은 오히려 넓게 형성된 마치 조롱박 형태를 갖는 경우 등일지라도 별도의 의료적인 방법 동원 없이도 원하는 식립위치로 용이하게 식립될 수 있고, 또한 고정력이 우수하여 골융합을 용이하게 이룰 수 있기에 임플란트 시술의 실패율을 최대한 저지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