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는, 구강 내의 치조골에 천공된 드릴 홀에 식립되며, 외측면에 수나사산이 형성된 몸통부; 및 몸통부의 하단부 영역에서 몸통부의 반경 방향을 따라 적어도 일부분이 절개되어 형성되며, 몸통부가 치조골의 드릴 홀에 식립될 때 치조골이 인입되어 접촉 가능한 치조골접촉절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치조골접촉절개부의 내측으로 드릴 홀의 바닥을 형성하는 치조골 부분이 인입됨으로써 종래에 비해 치조골과의 접촉 면적을 증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치조골접촉절개부의 내측에 뼈 형성 단백질을 결합시키는 경우 치유 기간 동안에 치조골의 성장을 촉진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치조골과의 고정 결합력을 종래보다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다.
Abstract: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는, 구강 내의 치조골에 천공된 드릴 홀에 식립되며, 외측면에 수나사산이 형성된 몸통부; 및 몸통부의 하단면으로부터 내부 방향으로 함몰 형성되어, 몸통부가 치조골의 드릴 홀에 식립될 때 치조골이 인입되어 접촉 가능한 치조골접촉내부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보다 치조골과의 접촉 면적을 현저히 증대시켜 치조골과의 결합력을 종래보다 훨씬 더 증대시킬 수 있다.
Abstract: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는, 구강 내의 치조골에 천공된 드릴 홀의 하부 영역에 식립되며, 외측면에 형성된 수나사산의 산들을 잇는 가상의 선이 드릴 홀의 축선과 실질적으로 나란하게 마련되는 제1 몸통부; 및 제1 몸통부의 단면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되 제1 몸통부의 수나사산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나사곡선에 의해 마련되는 수나사산이 외측면에 형성되며, 제1 몸통부의 상단부로부터 연장되게 마련되어 드릴 홀의 상부 영역으로 식립되는 제2 몸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치조골에 드릴 홀을 드릴링한 후 최초 식립 시 픽스츄어의 유동을 방지하여 픽스츄어의 식립 방향을 드릴 홀의 축선과 패러럴(parallel)하게 유지함으로써 임플란트의 시술 시 발생될 수 있는 시술 실패를 미리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픽스츄어의 식립 완료 시 고정력을 최대화하여 시술 후 발생할 수 있는 픽스츄어의 유동을 방지하여 임플란트 시술에 대한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Abstract:
본 발명은 아연을 전기분해하여 제조된 1∼20㎚ 크기의 나노입자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하여 개시한다. 상기 나노입자는 111∼130℃의 온도 범위에서 표면 용융된다. 상기 나노 입자를 함유한 솔더 볼은 180℃ 이하에서 소결 할 수 있는바, 첫째 Rflow 공정시 가열 온도를 240℃에서 180℃까지 낮출 수 있기 때문에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74㎾의 에너지를 소모하는 Reflow 공정 장치를 56㎾의 에너지 사용으로 해결할 수 있어 24%의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다. 둘째 Reflow 공정의 온도를 낮춰 PCB 보드의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고, 유리전이 온도가 낮은 PET와 같은 저가 고분자 재료를 사용할 수 있게 됨으로써 단가가 저렴한 실장 재료의 적용 분야가 창출될 수 있다. 그리고 셋째 10㎚ 이하 크기의 나노입자를 사용할 경우 패드 위의 솔더 페이스트 균일성을 높일 수 있고 나노 솔더 잉크의 경우 입자의 크기가 작음으로 인해 미세 Patterning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다(도 4).
Abstract:
본 발명은 구리 파우더에 주석 나노입자를 결합시켜 만든 복합 소재에 관한 것으로 전기전도도는 구리 파우더의 전기전도도를 유지하면서 소결 온도가 주석 나노입자의 소결온도 이하에서 이루어지며 특히 복합 소재를 소결시 주석의 나노입자가 먼저 표면 멜팅이 이루어져 구리 파우더 입자를 공기와 접촉을 차단하여 고온 소결시 구리가 산화되는 것을 방지한다. 즉, 기존 고가의 은을 대체하여 경제적 효과를 거둘 수 있다. 또한 기존의 무연 솔더 패터닝에서 전기전도도를 구리 파우더 수준으로 대폭 향상 시킬수 있고 소결온도를 기존 솔더 페이스트 수준으로 낮출수 있어 전기 전자 산업에 획기적인 개선을 가져올수 있다. 또한 구리 파우더 대신 금, 은, 텅스텐, 티타늄, 스테인레스, 알루미늄, 철, 니켈로 이루어진 일군에서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선택된 금속 파우더에 주석 나노입자를 결합시켜 만든 복합 소재도 소재의 특성에 따라서 특징된 물성을 나타낼 수 있다. 즉, 녹는점이 낮은 주석을 이용하여 소결을 하고, 내마모성이 강한 텅스텐 등의 장점을 이용하여 특수 용도에 맞는 소재 개발이 가능해 졌다. 특히 소결시 소결 온도에서 주석이 표면 용융되어 부착된 텅스텐의 산화를 막아줘 진공이 아닌 상태에서 소결이 가능하여 경제적 효과를 높일 수 있다(도 2).
Abstract:
본 발명은 주석 또는 주석 합금을 전기분해하여 제조된 1∼20㎚ 크기의 나노입자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하여 개시한다. 상기 나노입자는 80∼130℃의 온도 범위에서 표면 용융된다. 상기 나노 입자를 함유한 솔더 볼은 160℃ 이하에서 소결 할 수 있는바, 첫째 Rflow 공정시 가열 온도를 240℃에서 160℃까지 낮출 수 있기 때문에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74㎾의 에너지를 소모하는 Reflow 공정 장치를 50㎾의 에너지 사용으로 해결할 수 있어 22%의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다. 둘째 Reflow 공정의 온도를 낮춰 PCB 보드의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고, 유리전이 온도가 낮은 PET와 같은 저가 고분자 재료를 사용할 수 있게 됨으로써 단가가 저렴한 실장 재료의 적용 분야가 창출될 수 있다. 그리고 셋째 10㎚ 이하 크기의 나노입자를 사용할 경우 패드 위의 솔더 페이스트 균일성을 높일 수 있고 나노 솔더 잉크의 경우 입자의 크기가 작음으로 인해 미세 Patterning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다(도 4).
Abstract:
본 발명은 젖은 우산을 들고 실내에 진입할 때 빗물이 바닥으로 떨어지지 않게 하기 위하여 우산 손잡이에 빗물이 고이도록 하는 빗물받이 손잡이를 구비한 우산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즉 우산 사용 후 우산을 접어 못이나 책상 등에 걸었을 때, 우산 손잡이에 빗물이 고이도록 하기 위하여 우산 손잡이가 컵의 형태를 이루도록 형성하고, 우산 상단의 우산 꼭지에 걸개와 손잡이를 구비하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우산을 사용한 후 우산을 접고 방수 커버를 씌워서 지퍼락을 구비하여 지퍼락에 우산을 넣고 잠근 후 가방 등에 수납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하나의 걸림턱과 제1지렛대를 사용한 방법으로 구조를 변경하여 우산을 용이하게 접고 펼 수 있도록 후커 장치의 구조를 실용적으로 구성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우산 사용 후 빗물이 흐르는 것을 방지하는 방법으로 방수 커버 일체형 우산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고, 방수 커버를 사용한 후 쉽게 건조할 수 있도록 방수 커버를 분리식으로 한 것이며, 장우산의 경우는 방수 커버를 쉽게 건조할 수 있도록 상부 덮개를 분리 식으로 개선하고 우산에 인장 줄을 구비하여 조작이 편리하고 어깨에 걸 수 있도록 개선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빗물받이 겸용 우산 손잡이 우산과 방수 커버 일체형 우산은 우산 사용 시 사용자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우산의 분실위험을 최소화하고, 실내를 청결히 할 수 있으며 1회용 비닐커버의 사용도 필요 없어 환경오염을 줄일 수 있는 등 여러 가지 효과가 있는 것이다.
Abstract:
본 발명은 레이저 광으로 조사되는 십자패턴을 기준으로 골프 어드레스 연습과 에이밍 연습을 할 수 있는 골프 어드레스 및 에이밍 연습구에 관한 것이며, 원통상 레이저 투사기(2)의 한쪽 대지면(8) 중심에 십자패턴 마스크(6)를 장착하여 지면으로 레이저 광의 십자패턴(C)이 투사될 수 있게 하고, 상기 레이저 투사기(2)의 외주 한쪽으로 가변 힌지(10)를 일체로 연장 형성하는 한편, 클립(4)에 상기 가변 힌지(10)와 대응하는 고정 힌지(12)를 일체로 부착하고, 상기 가변 힌지(10)와 고정 힌지(12) 사이로 스프링(18) 또는 자석(34)을 개삽하고 축(16)으로 연결하여상기 클립(4)에 대한 레이저 투사기(2)의 전개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한 구성을 제안하는 것이다.
Abstract:
본 출원은 얼굴 인식을 이용한 사용자 인증 방법 및 그 장치이며, 카메라 모듈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얼굴 영상을 촬영하고, 얼굴 영상의 눈, 코, 입 또는 귀의 각 위치를 기준으로 복수의 도형을 파악한 후 복수의 도형을 기준으로 사용자의 동일성을 인증한다. 또한, 본 출원은 종래에 사용된 복잡한 사용자 인증 과정을 단순화할 수 있고 빠르게 인증할 수 있으며, 사용자별 얼굴의 특징을 수치화한 값으로 인증 과정을 대체할 수 있어 얼굴을 다치거나 얼굴 인식이 용이하지 아니한 상황에서도 활용할 수 있다.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멀티 광 픽업은, 예를 들어, 씨디 및 디브이디(CD/DVD) 겸용 광 픽업, 또는 디브이디 및 비디(DVD/BD) 겸용 광 픽업, 또는 씨디 및 비디(CD/BD) 겸용 광 픽업, 또는 씨디 및 디브이디 및 비디(CD/DVD/BD) 겸용 광 픽업 등과 같은 다양한 유형의 멀티(Multi) 광 픽업 내에, 격자들이 균일하게 배열된 일반 그레이팅(Normal Grating)을 사용함으로써, 예를 들어, 위상 시프트 그레이팅, 파장 선택형 그레이팅, 양면 그레이팅 등과 같이 특수하게 제작된 고가격의 광학소자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므로, 광 픽업의 제조 비용을 절감함과 아울러, 광 픽업의 생산성 및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