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본 발명은 금형 형상 변화를 이용한 알루미늄 또는 마그네슘 합금 스크롤 로터의 열간단조 성형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금형의 연속적, 비연속적 두께변화를 이용하여 소재 유동을 제어하는 방법과 금형 상에 다양한 크기와 위치, 개수의 벤트홀을 위치시켜 소재 유동을 일정하도록 제어하도록 하여, 불균일하게 성형되는 스크롤 로터 랩부의 높이 편차를 최소화 시킬 수 있으며, 알루미늄 또는 마그네슘 합금 스크롤 로터의 열간 단조성형 후에 발생하는 랩부의 길이 편차를 최소화하고 정밀성형을 유도할 수 있는 금형 형상 변화를 이용한 알루미늄 또는 마그네슘 합금 스크롤 로터의 열간단조 성형방법에 관한 것이다.
Abstract:
본 발명은 알루미늄 후판의 곡면성형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탄성 복원량이 감소되는 알루미늄 후판의 곡면성형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알루미늄 후판의 곡면성형 방법은, 주재료가 알루미늄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플레이트가 접합된 알루미늄 후판을 목표 곡률과 반대 방향의 곡률을 가지도록 성형하는 제1성형단계; 상기 알루미늄 후판을 목표 곡률과 동일 방향으로 더 작은 곡률을 가지도록 예비 성형하는 제2성형단계; 및 상기 알루미늄 후판이 목표 곡률을 가지도록 성형하는 제3성형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알루미늄 후판의 곡면성형이 용이해지는 이점을 가지며, 이로 인해 알루미늄 후판을 이용한 곡면을 가지는 다양한 형태의 성형체 제조가 가능해지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Abstract:
본 발명은 알루미늄 후판을 이용한 구체 형상 저장용기의 성형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내부 곡률이 목표 곡률을 이루는 알루미늄 후판을 이용한 구체 형상 저장용기의 성형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알루미늄 후판을 이용한 구체 형상 저장용기의 성형 방법은, 주재료가 알루미늄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플레이트가 접합되면서 구체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저장용기를 성형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면이 목표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다이에 상기 플레이트를 위치시키는 제1단계; 상기 플레이트를 향하는 면이 상기 목표 곡률보다 더 큰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펀치를 이동하여 상기 플레이트를 압착하는 제2단계; 및 상기 펀치를 원위치로 이동시키는 제3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저장용기의 내부 곡률이 목표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됨으로써 탄성 복원력을 저감시켜 치수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가지며, 정확한 저장용량의 파악 및 원하는 용량의 적재가 가능한 장점을 가진다.
Abstract:
본 발명은 다공성 세라믹 표면을 밀봉하는 치밀한 희토류 금속 산화물 코팅막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평균 표면 거칠기가 0.4 내지 2.3m인 다공성 세라믹층을 포함하는 기판의 다공성 세라믹층 상에 형성된 희토류 금속산화물 코팅막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공성 세라믹 표면을 밀봉하는 치밀한 희토류 금속 산화물 코팅막 및 이의 제조방법은 충분한 두께의 다공성 세라믹 코팅층에 의해 내전압 특성 확보 및 치밀한 희토류 금속 산화물 코팅막에 의한 플라즈마 내식성 확보가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어, 반도체 식각장비를 포함하는 다양한 반도체 장비용 부품에 적용될 수 있다.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코일 위치 자동 정밀 제어에 의한 고주파 유도 가열을 이용한 후판의 3차원 곡가공 장치는, 전원공급수단과, 다수 부품을 지지하는 프레임과, 작업대에 안착된 후판에 고주파 유도 가열을 실시하는 가열수단과, 상기 가열수단 또는 작업대의 움직임을 안내하는 이송수단과, 상기 가열수단 일측을 경유하여 냉각하는 열교환기와, 상기 후판에 대하여 가열 전과 후의 높이 변위를 측정하기 위한 변위측정수단과, 상기 가열수단, 이송수단, 열교환기 및 변위측정수단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곡가공 시간 및 전력 사용량이 현저히 감소하고 더불어 기존의 가스 토치식 선상 가열법과는 달리 열원으로서 가스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친환경적이며, 변위측정수단이 구비되어 곡가공 정밀도를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Abstract:
본 발명은 수상 활동 중에 위급상황 발생 시 긴급하게 사용하는 구명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위급상황이 발생 시 인명구조를 위해 안전핀을 뽑아 투척하는 중 가스가 분출되면서 튜브에 가스가 공급되어 펼쳐지도록 함으로써, 휴대와 투척이 용이하면서도 위급 시 신속하고도 멀리 투척하여 인명구조 활동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투척용 구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Abstract:
본 발명은 인체에서 발생하는 여러 생체신호, 즉심전도 측정신호, 산소포화도 측정신호, 혈압 측정신호, 체온 측정신호 등을 실시간으로 측정하면서 이들 생체신호들을 디지털 신호처리 실험과정에 실시간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생체신호를 이용하여 이루어지는 실험과정에서의 디지털 신호처리 과정에 대한 물리적인 이해도를 높일 수 있는 생체신호의 디지털 신호처리용 실험키트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생체신호측정부, 연산처리부, 메모리부, 출력부, 설정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연산처리부는 생체신호 검출 실습 모드부(210), 신호원리 실습 모드부(220), 신호와 시스템의 시간영역 표현 실습 모드부(230), 신호와 시스템의 주파수영역 표현 실습 모드부(240), 샘플링 실습모드부(250), 필터 기초 실습 모드부(260), FIR 필터 실습 모드부(270), IIR 필터 실습 모드부(280), 필터응용 실습 모드부(285), 신호의 변복조 실습 모드부(290), 데이터 통신 실습 모드부(295)를 포함한다.
Abstract:
본 발명은 과수나무에 열리는 과일을 해충이나 농약 등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도록 그 외부에 씌워주는 과일봉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과나 복숭아, 배 등과 같은 어린 과일을 보호할 수 있도록 봉지 입구의 양단부측에 폐쇄부를 형성하고 그 중앙부측에는 나무에 열린 과일을 유입시킬 수 있는 입구부를 형성하되, 상기 입구부의 양측에는 서로 대향되는 위치에 상기 입구부입구부하여 고정시킬 수 있는 잠금수단을 구비함으로써, 봉지를 벌려 내부로 과일을 삽입한 후 이를 용이하게 닫아 고정시킬 수 있어 외부로부터 해충이나 농약 등의 유입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과일 보호용 과일 봉지에 관한 것이다.
Abstract:
본 발명은 모발 건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두건 내에 수건을 구비하여 모발의 수분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하면서 두건 내로 뜨거운 바람이 유입되도록 하여 단시간 내에 건조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모발 건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은, 온풍을 발생하는 드라이기; 드라이기로부터 발생된 바람이 외피의 공기 유입공을 통해 내부 공간으로 유입된 후 내피에 구비된 다수의 노즐을 통해 분사되도록 하는 플랙시블한 두건; 상기 두건의 내피에 구비되어 모발의 수분을 흡수함과 동시에 노즐로부터 발산되는 바람을 미세하게 분사시키는 수건;을 포함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모발 건조 장치는 내장된 수건을 이용하여 모발을 비벼 수분을 지속적으로 흡수하면서 온풍이 모발의 깊숙한 곳까지 지속적으로 공급됨에 따라 모발이 신속하게 건조되는 효과가 있고, 상기 수건의 교체가 용이하여 계속해서 사용할 수 있으며, 습도를 통해 드라이기의 세기가 자동으로 조절되어 열에 의한 두피의 손상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Abstract:
본 발명은 가스분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기판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가스분사장치는 챔버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복수의 기판을 지지하는 기판지지부의 상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기판지지부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원주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기판에 공정가스를 분사하는 복수의 가스분사유닛을 구비하며, 복수의 가스분사유닛들 중 적어도 하나의 가스분사유닛은 공정가스가 도입되는 도입구가 형성되어 있는 탑플레이트 및 탑프레이트와의 사이에서 기판지지부의 반경방향을 따라 가스확산공간을 형성하도록 탑플레이트의 하부에 배치되며, 도입구를 통해 유입되어 가스확산공간에서 확산된 공정가스가 기판을 향해 분사되도록 가스확산공간의 하측에 다수의 가스분사공이 형성되어 있는 분사플레이트를 구비하며, 공정가스는 복수의 지점에서 가스확산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에 특징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