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소정 크기의 픽셀 블록에 포함되는 픽셀들 각각의 휘도 성분 값 및 색차 성분 값을 획득하고, 픽셀 블록에서 픽셀들의 공간적인 위치에 기초하여 휘도 성분 값들 및 색차 성분 값들이 배치된 복수 개의 파티션을 획득하고, 영상 데이터의 데이터 전송률에 따라 복수 개의 파티션을 선택적으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데이터 송신 방법이 제공된다.
Abstract:
영상 데이터의 데이터 전송률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영상 데이터를 구성하는 픽셀 블록들 마다 적어도 하나의 픽셀을 드랍하고, 일부 픽셀이 드랍된 영상 데이터를 송신하는 데이터 송신 방법 및 장치, 일부 픽셀의 데이터 값이 드랍된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픽셀들의 데이터 값을 참조하여 드랍된 픽셀들을 복원하는 데이터 수신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된다.
Abstract:
본 발명은 연료전지용 복합분리판에 관한 발명으로서 기계적 강도가 우수하고 전기전도도가 우수하며, 접촉저항과 기체투과성이 낮으며, 밀도가 낮아 제품의 경량화에 기여하는 연료전지용 복합분리판에 관한 발명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연료전지용 복합분리판은 금속지지체 및 전기전도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상기 금속지지체의 내부에 충진된 금속분말 페이스트를 포함하는 것에 관한 발명이다.
Abstract:
연필깎이가 개시된다. 상기 연필깎이는, 일면에 개방부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수용공간을 포함하며 내측면에는 제1 결합부재가 형성되는 하우징부, 및 상기 하우징부의 수용공간에 삽입되고 외측면에 상기 제1 결합부재에 대응되는 제2 결합부재가 형성되며 내부에 칼날부를 포함하는 연필 절삭부를 구비하고, 상기 연필 절삭부에 삽입된 연필이 상기 하우징부의 길이 방향으로 직선운동함에 따라 상기 제1 결합부재 및 상기 제2 결합부재에 의해 상기 연필 절삭부의 적어도 일영역이 회전됨으로써 상기 칼날부에 의해 상기 연필이 절삭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bstract:
본 발명은 배터리 보호회로의 패키지 모듈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보호회로의 패키지모듈은, 양쪽가장자리부분에 각각 구비되며, 베어셀이 내장된 배터리 캔과 연결되는 제1내부연결단자 및 제2내부연결단자가 각각 배치되는 제1내부연결단자영역 및 제2내부연결단자영역과; 상기 제1내부연결단자영역에 인접되며, 복수의 외부연결단자들이 배치되는 외부연결단자 영역과; 상기 배터리 보호회로를 구성하는 복수의 수동소자들이 배치되는 소자영역과, 상기 소자영역에 인접되며 상기 배터리 보호회로를 구성하는 프로텍션(protection) IC 및 듀얼FET칩이 배치되는 칩영역이, 상기 외부연결단자영역과 상기 제2내부연결단자영역 사이에 배치되는 보호회로영역을 구비하여, 상부면에는 상기 복수의 외부연결단자들이 노출되고, 하부면에는 상기 제1내부연결단자 및 상기 제2내부연결단자가 노출되도록 패키징된 구조를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별도의 모듈제조공정이 필요하였던 기존 방법보다 제조공정이 최소화 되며, 배터리 팩의 구성이 용이하고 소형화 및 집적화가 가능하다.
Abstract: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서, 전자 장치는, 외부 장치를 감지하기 위한 복수 개의 감지 코일, 상기 외부 장치로 전력을 전송하는 전력 전송 코일,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전력 전송 코일에, 상기 복수 개의 감지 코일 각각에 대응하여 설정된 크기를 가지는 전력들을 순차적으로 인가하고, 상기 전력들 중 상기 복수 개의 감지 코일 각각에 대응하는 전력이 인가되는 기간 동안, 상기 복수 개의 감지 코일 각각에 유도되는 유도 전압들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유도 전압들에 기반하여, 상기 무선 전력 전송 장치 상에 위치하는 상기 외부 장치를 감지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Abstract:
본 개시는 4G 시스템 이후 보다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지원하기 위한 5G 통신 시스템을 IoT 기술과 융합하는 통신 기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는 5G 통신 기술 및 IoT 관련 기술을 기반으로 지능형 서비스 (예를 들어, 스마트 홈, 스마트 빌딩, 스마트 시티, 스마트 카 혹은 커넥티드 카, 헬스 케어, 디지털 교육, 소매업, 보안 및 안전 관련 서비스 등)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신호 전송 특성 분석 방법은 3차원 지도 정보를 포함하는 제1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3차원 지도 정보와 관련된 이미지 정보에서 실재 환경 정보를 포함하는 제2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1정보 및 상기 제2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적어도 복수개의 송신기 후보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정보 및 상기 제2정보를 기반으로 레이 트레이싱(ray tracing) 시뮬레이션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연구는 미래창조과학부 '범부처 Giga KOREA 사업'의 지원을 받아 수행하였다.
Abstract:
무선으로 전력을 전송하는 제1전자 장치는, 전력 송신 회로, 메모리, 펄스 발생기, 상기 전력 송신 회로를 통해 무선으로 전력을 전송하는 경로 상에 위치하는 이물질을 검출하기 위한 이물질 검출 회로, 및 제어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전력 송신 회로에 인가되는 교류 형태의 입력 전압에 기반하여, 무선으로 전력을 제2전자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펄스 발생기를 통해, 상기 입력 전압의 지정된 전압에 대응하는 제1시점에 동기화된 트리거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트리거 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제1시점에 확인된 상기 이물질 검출 회로의 출력값을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고, 상기 펄스 발생기로부터 다음 주기의 트리거 신호가 상기 메모리에 수신되기 전까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출력값을 지정된 시간동안 계속하여 상기 메모리로부터 획득하고, 상기 지정된 시간동안 획득된 상기 출력값에 기반하여 상기 이물질을 검출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