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진공증발을 이용한 냉방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냉방시스템은, 냉방 대상 공간 벽면에 설치되며 진공상태로 유지되는 진공냉각관 내부에 물 분사용 분무배관을 배치시킨 구성의 진공열교환유닛, 진공배관을 통해 상기 진공열교환유닛과 연결되며 상기 진공냉각관 내부 진공상태 유지를 위한 진공을 형성시키는 외부 진공챔버, 그리고 송수관을 통해 상기 진공냉각관 내에 배치되는 분무배관과 연결되며 진공열교환유닛의 분무배관을 통해 진공냉각관 내부로 분사될 물을 저장하는 물 저장조로 시스템을 구성한 것을 요지로 한다.
Abstract:
복합 발전 및 담수화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시스템은 취수구를 통해 취수되는 해수를 저장하기 위해 해수면으로부터 일정 깊이 이하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해수 저장조, 해수 저장조로 해수를 이송하기 위한 취수관 및 취수관을 따라 이송되는 해수의 위치 에너지를 이용하여 전력을 생성하는 발전 수단을 포함하는 발전장치 모듈, 저장조에 저장된 해수를 증발시켜 증기 상태의 담수를 배관을 통해 담수 저장조로 이송하여 담수화하는 제1 담수화 장치 모듈, 및 저장조에 저장된 해수의 압력을 이용하여 압력을 공급하기 위한 제1 및 제2 가압탱크와 제1 및 제2 가압탱크로부터 공급되는 압력을 이용하여 해수를 역삼투압방식으로 담수화하기 위한 담수화 수단을 포함하는 제2 담수화 장치 모듈을 구비한다.
Abstract:
본 발명은 폐열 회수 발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발전원에서 제공되는 폐열을 전달받아 스팀을 생산하는 보조열원부(100)와; 상기 보조열원부(100)와 연결되며, 소정 높이에서 상기 스팀을 응축시켜 액체화하고 낙하시켜 전력을 발생시키는 발전부(200)로 구성되어, 저온의 폐열을 이용한 고부가 가치의 전력 생산이 가능하게 하여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위치에너지를 기반으로 가동되므로 안정적이고 지속적이며, 예측 가능한 발전이 가능하게 하여 상품성을 증대시키는데 효과가 있도록 하는 것이다.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에너지와 열에너지를 동시에 수송할 수 있는 복합 에너지 네트워크용 배관 및 배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복합 에너지 네트워크용 배관은 외관; 상기 외관 내부에 배치되어 내부에서 열에너지가 수송되는 적어도 하나의 열수송 내관; 상기 외관 내부에 배치되어 내부에 전력선이 인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전력선 내관; 및 상기 외관 내부를 충진하는 충진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에 독립적으로 설치 및 운영되고 있는 전기에너지용 송전망과 열에너지용 배관망을 단일 외관으로 통합함으로써, 각각의 고유한 에너지 전달 기능은 유지하면서도 보다 효율적인 설치가 가능하고, 유지보수 등의 운영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유기 랭킨 사이클 시스템과 그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은 증발기와 터빈 사이에 기액분리기를 마련하되, 상기 기액분리기에 레벨 센서를 마련하여 기액분리기 내부 포화액의 수위를 모니터링하고, 제어부를 마련하여 상기 레벨 센서의 수위에 따라 증발기의 운전 조건을 조절함으로써, 상기 터빈으로 지속적으로 포화증기 상태의 유기작동 유체가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bstract:
본 발명은 양방향 열거래 기반의 열에너지 네트워크에 있어서, 하나의 장치로 양방향의 열량을 모두 측정할 수 있는 양방향 열량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양방향 열량계는 제1 수요처측 배관 및 제2 수요처측 배관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제1 수요처 및 상기 제2 수요처 간 열에너지의 열량을 측정하는 열량계에 있어서, 일측이 상기 제1 수요처측 배관에 연결되는 제1 연결 배관; 일측이 상기 제2 수요처측 배관에 연결되는 제2 연결 배관; 상기 제1 연결 배관의 타측 및 상기 제2 연결 배관의 타측 사이에서 양갈래로 분기되는 제1 분기 배관 및 제2 분기 배관; 상기 제1 분기 배관에 설치되어 상기 제1 분기 배관을 통과하는 열에너지의 유량을 측정하는 제1 유량 측정부; 상기 제2 분기 배관에 설치되어 상기 제2 분기 배관을 통과하는 열에너지의 유량을 측정하는 제2 유량 측정부; 상기 제1 분기 배관 또는 상기 제2 분기 배관 내 열에너지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측정부; 및 상기 제1 유량 측정부 또는 상기 제2 유량 측정부에 의해 측정되는 유량과, 상기 온도 측정부에서 측정되는 온도를 통해 열량을 산출하는 연산부를 포함한다.
Abstract:
본 발명은 온실 이산화탄소 시비용 열병합발전 시스템에 관한 정으로서,특히 연료의 연소를 통해 전력과 열을 동시에 생산,공급하는 열병합발전 시스템의 배가스로부터 이산화탄소를 정제하여 온실에 공급하는 온실 이산화탄소 시비용 열병합발전 시스템이 구비되되; 정제된 이산화탄소를 열 수송매체에 용해시켜 단일 배관을 통해 은수와 아산화탄소 수송을 동시에 달성하도록 하는 통합배관 시스템 (130)과; 수요처로 이송된 이산화탄소를 온수와 함께 저장할 수 있는 저장시스템 (190)과; 수요처로 이송 및 저장된 이산화탄소를 수요처의 열 및 이산화탄소 부하 조건에 따라 복수의 이산화탄소를 공급하는 공급 수단 (192; 220)으로 구성되어,이산화탄소 및 온수 이송이 단일 시스템을 통해 이루어져 설비 비용 뿐만 아니라 이송을 위한 동력비까지 절감시켜 비용적인 측면에서 효과가 있으며,온실 (200) 외에 다양한 건물에 적용이 가능하게 하여 운영 효율성 및 상품성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도록 하는 것이다.
Abstract:
본 발명은 배관을 통해 공급되는 냉방 혹은 난방용 에너지의 양을 측정하는 열량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배관을 통해 공급되는 냉방 혹은 난방용 에너지의 양을 측정하는 열량계에 있어서, 상기 배관을 통해 공급되는 유체의 양을 측정하는 유량 측정부와, 공급측 배관과 회수측 배관 사이의 온도 차이를 측정하는 온도 측정부와, 상기 측정된 유량값과 상기 공급측 배관과 회수측 배관 사이의 온도 차이 측정값을 이용하여 상기 공급되는 에너지량을 계산하는 열량 계산부 및 열전소자를 이용하여 상기 배관 혹은 상기 배관 주변의 적어도 두 곳의 온도 차이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시키고, 상기 전기 에너지를 상기 열량계의 전원으로 제공하는 자가 발전부를 포함하는 열전 소자를 이용한 자가발전식 열량계를 제공한다.
Abstract:
본 명세서는 각각 특정 세대의 사용 열량을 측정하는 복수의 열량계들로부터 계측 데이터를 수집하는 수집 장치 및 계측 데이터를 기초로 복수의 열량계들에 대한 고장 확률 및 고장 원인을 판단하는 고장 판단 장치를 포함하는 열량계 이상 판단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한다. 이때, 고장 판단 장치는, 수집 장치로부터 계측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부, 계측 데이터를 제1 머신 러닝 모델에 입력하여 복수의 열량계들에 대한 고장 확률 정보를 판단하는 고장 확률 판단부, 계측 데이터를 제2 머신 러닝 모델에 입력하여 복수의 열량계들에 대한 고장 원인 정보를 판단하는 고장 원인 판단부 및 고장 확률 정보 및 고장 원인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복수의 열량계들 중 하나 이상의 열량계인 타깃 열량계에 대한 정비 우선 순위를 결정하는 우선 순위 결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Abstract:
본 발명은, 열량계에서 검침된 검침데이터의 전송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원격 검침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배관을 통해 이동하는 유체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 상기 온도센서로부터 전달받은 감지데이터를 토대로 냉방 또는 난방용 에너지의 양을 계측하여 검침데이터를 생성하는 열량계; 및 상기 열량계로부터 상기 검침데이터를 제공받아 상기 냉방 또는 난방용 에너지 사용량을 산출하는 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열량계는, 자체 장애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장애가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 제1 검침데이터를 생성하고, 장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제1 검침데이터와는 다른 제2 검침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서버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검침 시스템를 제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