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본 발명은 터치 패널, 터치 패널의 구동방법 및 터치 패널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터치 패널은 기판, 상기 기판의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복수의 발광소자 및 상기 기판의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복수의 수광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수광소자의 개수는 상기 발광소자의 개수보다 많을 수 있다.
Abstract:
본 발명은 물이 흐르는 방향이 바뀌어도 한쪽 방향으로만 회전되어 지속적인 발전이 가능하게 하고 흐르는 물의 수위가 변하여도 지속적인 발전이 가능하도록 개선된 조수력 발전용 터빈 및 이를 이용한 조수력발전장치을 제공하고, 자연 생태계의 변화를 주지 않고도 발전이 가능하도록 하려는데 있다.
Abstract:
본 발명은 머시닝 센터의 자동 공구교환장치에 관한 것으로, 테이블의 양측에 입설된 매거진이 베이스의 상면에 형성된 X축 레일을 따라서 실린더에 의해 작동되도록 구성되되, 작업대상물이 가공될 때에는 테이블과 이격된 위치에서 대기하고 있다가 스핀들이 상승하여 공구를 교체할 시에는 테이블의 상부 중앙으로 수평이동하도록 하여 공구의 교체가 쉽고 빠르게 진행될 수 있도록 한 특징이 있다.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린 볼링 시뮬레이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자면, 하나의 평면상에서 길이방향으로 연결되어 있는 단축레인 및 센싱레인과 그 양변에 설치된 거터(gutter), 상기 센싱레인 상에 설치되어 있는 광센서 유닛, 상기 단축레인과 센싱레인의 경계선상에 설치되어 있는 스크린, 볼링핀의 동적 정보를 연산하는 컴퓨터, 그리고 상기 스크린으로 볼링공과 볼링핀의 영상을 조사하는 프로젝터로 구성되어 있어서, 볼링공의 동적 정보를 감지하는 센서가 보울러(bowler)의 시선을 방해하거나 볼링공의 경로를 변화시킬 우려가 있고, 특히 볼링공의 각도 변화를 용이하게 감지함으로서 실제 볼링장과 유사한 경기 결과를 구현할 수 있는 스크린 볼링 시뮬레이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Abstract:
본 발명은 하수나 폐수로 대표되는 점 오염원을 처리하는데 적용되거나, 하천수 또는 호소수 중에 포함된 다양한 오염물질을 처리하는데 있어 강우시 유출되는 비점오염원을 선택적으로 또는 동시에 고도처리할 수 있는 저에너지 소비형의 다기능 하이브리드 인공습지 수질정화시스템, 이를 이용한 하수처리장치 및 하천 또는 호소수의 동시 정화가 가능한 자연형 비점정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인공습지 수질정화시스템은 제1호기성 인공습지, 비호기성 인공습지 그리고 제2호기성 인공습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제1호기성 인공습지는 유입되는 정화대상수의 수직방향 흐름을 유도하면서 오염물질이 제거되도록 한다. 비호기성 인공습지는 제1호기성 인공습지로부터 유입되는 처리수의 수평방향 흐름을 유도하면서 오염물질이 추가로 제거되도록 한다. 그리고, 제2호기성 인공습지는 비호기성 인공습지로부터 유입되는 처리수의 수직흐름을 유도하고, 내측으로는 공기가 공급되도록 하여 유입된 처리수의 용존산소가 높아지도록 한다.
Abstract:
본 발명은 가열램프가 끼워지는 램프 포켓(21)을 복수개 가지며, 냉각수 유입구(111a, 111b) 및 냉각수 유출구(112a, 112b)가 마련되어 냉각수 유입구(111a, 111b)에서 유입되어 냉각수 유출구(112a, 112b)로 토출되는 냉각수의 흐름에 의하여 램프 포켓(21)이 냉각되는 급속열처리장치의 히터블록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냉각수 유입구(111a, 111b)에서 유입되어 냉각수 유출구(112a, 112b)로 토출되는 냉각수의 흐름의 상하층으로 구분되도록 흐르도록 냉각수 유입구(111a, 111b) 및 냉각수 유출구(112a, 112b)가 각각 상하층에 구분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냉각수 유입구(112a, 112b)의 유입부에는 냉각수를 측방향으로 분산시키기 위한 냉각수 분산수단(140)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냉각수가 상층 및 하층으로 구분되어 흐르기 때문에 냉각효율이 증가하게 되고, 특히 가열램프의 발열이 주로 이루어지는 램프 포켓 하단부의 냉각을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냉각수 분산수단의 설치로 인하여 사영역(dead zone)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히터블록의 전체가 골고루 냉각되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