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본 발명은 광곽향( Pogostemon Cablin )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위장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특히 궤양성 대장염, 크론병, 과민성 대장 증후군, 또는 위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광곽향 추출물은 트리니트로벤젠 술폰산(trinitrobenzene sulfonic acid, TNBS)으로 유도된 염증성 장질환을 효과적으로 억제하고, 또한 MPO(Myeloperoxidase) 활성을 낮춤으로써, 염증성 장질환으로 통칭되는 궤양성 대장염 또는 크론병에 대한 예방 및 치료활성을 갖는다. 또한, 상기 광곽향 추출물은 소장 및 대장 환상근의 수축을 억제함으로써 과민성 대장 증후군에 대한 예방 및 치료활성을 가질 뿐만 아니라, 손상된 위점막에 대한 보호활성(cytoprotective activity)을 가짐으로써 위염에 대한 예방 및 치료활성을 갖는다.
Abstract:
본 발명은 속효성의 서방성 항진균 조정물에 관한 것으로서, 테르비나핀 및 실리콘계 필름 형성제를 포함하는 국소용 항진균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항진균 조성물은 약물의 투과량이 증가되고, 피부투과 지연시간을 단축시켜 약물을 빠르게 작용부위에 도달시키고 그 효과를 지속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Abstract:
본 발명은 엔케팔린 수용체 효능제 및 프로키네틱제를 포함하는 신규한 위장 관 운동 조절용 복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라 제공되는 복합 조성물은 엔케팔린 수용체 효능제와 프로키네틱제의 서로 상이한 작용기전에 의해 상호 보완 적으로 상부 및 하부 위장관의 운동 조절 능력을 동시에 개선할 수 있는 범용의 상 하부 위장관 운동 조절용 복합 조성물이다. 따라서 기능성 소화 장애나 변비, 과민 성 대장증상 뿐 아니라, 당뇨병성 위장운동장애, 화학요법으로 인한 위장운동장애, 소화관 운동장애로 인한 장폐색증, 근긴장성 이영양증(myotonic dystrophy)환자의 위장 운동 장애 등의 다양한 질환에 대해 포괄적이고 효과적인 치료 작용을 나타내 는 신규 복합조성물이다.
Abstract:
본 발명은 라시디핀; 계면활성제; 및 폴리비닐피롤리돈의 혼합물이 수용성 당류의 입자 표면에 코팅되어 형성된, 라시디핀 함유 과립 및 이를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라시디핀 함유 과립은 수성 매질에서 우수한 용출속도 및 용해도를 나타내며, 따라서 높은 생체 이용율을 나타낼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라시디핀 함유 과립으로부터 얻어진 정제 등의 고형 제제는 종래의 제제에 비하여 30 분까지의 누적 용출율을 약 2 배 이상으로 높일 수 있으므로, 신속한 약리 활성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우수한 생체이용율을 나타낼 수 있다.
Abstract:
본 발명의 일측면인 태양전지 기판은 하부기판 및 상기 하부기판 상에 형성된 하부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전극은 Mo-X-Na 3성분계 복합금속층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X는 Nb, Ni, Si, Ti, W, Cr 중 선택된 1종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측면인 태양전지는 하부기판 및 상기 하부기판 상에 형성된 하부전극인 Mo-X-Na 3성분계 복합금속층을 포함하는 태양전지 기판, 상기 태양전지 기판 상에 형성된 광흡수층, 상기 광흡수층 상에 형성된 버퍼층, 상기 버퍼층 상에 형성된 투명창 및 상기 투명창 상에 형성된 상부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Abstract:
수중 이동 장치 및 그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중 이동 장치는, 몸체; 몸체 후방측에 설치된 추진기; 몸체에 설치된 상하 방향 스러스터 및 좌우 방향 스러스터를 포함하는 스러스터부 및 몸체의 양 측부에 위치되며, 다관절 모듈을 포함하는 복수의 다리부를 포함한다.
Abstract:
본 고안은 벨트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방 및 배낭에 재봉된 각각의 벨트를 상호 연결시키면서, 이 벨트 길이를 조절하는 연결구 몸체에, 벨트 끝단의 마감부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회전 가능한 레버가 베이스 몸체에 축결합 되도록 고안된 것이다. 본 고안의 구성은, 횡방향을 갖고 몸체일단으로 지지축(31)이 형성되며, 몸체 중앙의 관통된 통과부(32)와, 끝단의 지지대(33)가 형성된 베이스 본체(30)와; 상기 베이스 본체(30)의 통과부(32) 상단에서, 일측단에 형성된 고정걸이대(41)의 끼움홈(42)이, 상기 지지축(31)과 결합되어 축지회동하며, 몸체의 다른 일단으로 조정걸이대(43)가 성형된 레버(40)로 구성되어 달성한다. 또, 상기 베이스 본체(30)에 축지 고정된 레버(40)의 닫힘 상태에서는, 조정걸이대(43) 하부와 본체 통과부(32) 사이의 통과폭(w)이, 벨트(10)의 마감부(11) 두께(t)보다 작게 형성한다. 또한, 상기 레버(40)의 조정걸이대(43)는 외측 끝단부가 베이스 본체(30)의 지지대(33) 내벽보다 외측으로 연장 성형되어, 벨트(10)가 조정걸이대(43)를 감싸면서 지지대(33) 내벽에 걸려져, 벨트(10)의 풀림이 방지되도록 하여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 본체(30)에 축지된 레버(40)를 상부로 회전시켜 통과부(32)가 개방된 상태에서만 벨트(10)의 이동 및 분리가 가능하다.
Abstract:
윈치 및 이를 포함하는 자율이동장치가 개시된다. 이 윈치는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드럼 구동축; 상기 드럼 구동축에 의해 회전하는 와이어 드럼; 상기 드럼 구동축과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구동모터에 의해 상기 드럼 구동축과 상이한 방향으로 회전하는 롤러 구동축; 상기 롤러 구동축과 연결되고, 상기 와이어 드럼에 감기거나 상기 와이어 드럼으로부터 풀리는 와이어를 지지하는 롤러; 및 상기 와이어 드럼이 와이어를 감는 방향으로 회전시 상기 롤러 구동축에 의해 상기 롤러로 전달되는 구동력이 차단되도록 상기 롤러 구동축 상에 설치되는 원웨이 클러치(one way clutch)를 포함하고, 상기 롤러는 상기 와이어 드럼이 와이어를 푸는 방향으로 회전 시 상기 롤러 구동축에 의해 구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와이어 드럼 및 상기 롤러 사이에 위치하는 와이어가 장력을 유지하도록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bstract:
본 발명의 일측면인 태양전지 기판은 하부기판 및 상기 하부기판 상부에 형성되는 하부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기판과 하부전극 사이에 1 또는 2이상의 금속층으로 이루어진 금속 확산방지막을 포함하며, 2이상의 금속층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서로 접하는 금속층은 이종의 금속인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측면인 태양전지는 하부기판 및 상기 하부기판 상부에 형성되는 하부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기판과 하부전극 사이에 1 또는 2이상의 금속층으로 이루어진 금속 확산방지막을 포함하며, 2이상의 금속층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서로 접하는 금속층은 이종의 금속인 태양전지 기판; 상기 태양전지 기판상에 형성된 p형 광흡수층; 상기 광흡수층 위에 형성된 n형 버퍼층; 상기 버퍼층 위에 형성된 투명창; 및 상기 투명창 위에 형성된 상부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Abstract:
동작 중 재구성이 가능한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 시스템은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재구성 정보를 포함하는 비트스트림을 생성하는 마스터 제어기 및 제1 슬레이브 제어기를 포함하되, 제1 슬레이브 제어기는 재구성 정보에 따라 재구성되어 제어값을 산출하는 게이트 어레이(FPGA: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인 제1 동적 재구성 모듈, 제어값에 따라 대상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게이트 어레이인 정적 재구성 모듈 및 제1 동적 재구성 모듈 및 정적 재구성 모듈 중 하나 이상을 재구성 정보에 따라 재구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