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본 발명은 유리판 연마 시스템용 연마 패드에 관한 것으로서, 연마 플레이트에 장착될 수 있으며, 연마액 공급부로부터 공급된 연마액을 연마면 상에서 이동시킬 수 있도록 미리 결정된 유로 패턴이 형성된 연마 패드에 있어서, 상기 유로 패턴은 적어도 2종류 이상이다.
Abstract:
본 발명은 유체 공급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유체를 분배시키기 위한 다수의 구멍들이 배열되고, 양단이 밀폐되어 미리 결정된 길이를 가진 내관; 및 내관을 감싸도록 내관과 동축적 또는 비-동축적으로 배치되며, 구멍들로부터 그 내부에 분배되는 유체를 외측으로 분사하기 위한 다수의 슬롯들이 배열되고, 내관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길이를 가진 외관을 구비한다.
Abstract:
본 발명은, 적은 양의 SO 2 기체를 사용하면서도 유리 표면의 흠집 발생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도록 하는 유리 표면 윤활층 형성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유리 제조 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리 제조 방법은, 유리를 성형하는 단계; 산화 분위기에서, 상기 유리에 SO 2 기체 및 상기 SO 2 기체의 산화 촉매를 공급하여 상기 유리의 하부 표면에 윤활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유리를 서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Abstract:
본 발명은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신규한 구조의 광활성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감광성 수지 조성물에 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광활성 화합물은 자외선을 효율적으로 흡수하여 라디칼을 생성하는 효율이 우수하고, 각종 불포화기와의 광중합에 효율적이며, 이를 포함하는 감광성 수지 조성물은 UV 광원에 대한 효율적 흡수로 감도가 우수하고, 잔막률, 기계적 강도, 내열성, 내화학성 및 내현상성도 우수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감광성 수지 조성물은 액정표시소자의 컬럼 스페이서, 오버코트 및 패시베이션 재료 등의 경화에 유리할 뿐 아니라, 고온 공정 특성에도 유리하다.
Abstract:
본 발명은 유리의 표면에 흠집 등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고 유리 제조 설비에 부식이 생기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하는 유리 표면 윤활층 형성 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서냉로 및 유리 제조 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리 표면 윤활층 형성 장치는, SO 2 기체를 공급하는 SO 2 공급부; O 2 기체를 공급하는 O 2 공급부; 및 SO 2 기체의 산화 촉매를 보유하고, 상기 SO 2 공급부 및 상기 O 2 공급부로부터 SO 2 기체 및 O 2 기체를 공급받아 SO 3 기체를 생성하여 생성한 SO 3 기체를 유리로 공급하는 촉매 보유부를 포함한다.
Abstract:
본 발명은 활성화 파장이 다른 복수의 광개시제를 포함한 감광성 수지 조성물, 감광성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액정 표시 장치용 투명 박막층 및 액정 표시 장치용 투명 박막층을 이용하여 제조된 액정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광개시제의 활성파 파장들의 차이가 20㎚ 이상인 두 종류 이상의 광개시제들을 포함하는 감광성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감도가 증가하면서도 노광 조도에 따른 두께 변화가 용이함으로써, 슬릿이나 반투과형 마스크를 사용할 때 용이하게 두께 조절을 할 수 있는 감광성 수지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Abstract:
본 발명은 신규 이치환된 페녹시아세틸계 화합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다약제내성 억제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신규 이치환된 페녹시아세틸계 화합물은 다약제내성의 주요 원인인 P-당단백질(P-glycoprotein, Pgp)의 과발현에 대한 억제활성 및 항암제와의 병용투여시 항암활성의 증가를 나타내어 항암제에 대한 다약제내성 극복제제, 치료제 또는 조절제로 이용될 수 있으며, 항암제의 효과를 증진시켜 암환자의 생존률을 높일 수 있고, 병용투여하는 항암제의 용량을 줄여 정상세포에 대한 부작용을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항암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Abstract:
본 발명은 신규 쿠마린계 화합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다약제내성 억제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쿠마린계 화합물은 다약제내성의 주요 원인인 P-당단백질(P-glycoprotein, Pgp)의 과발현에 대한 억제활성 및 항암제와의 병용투여시 항암활성의 증가를 나타내어 항암제에 대한 다약제내성 극복제제, 치료제 또는 조절제로 이용될 수 있으며, 항암제의 효과를 증진시켜 암환자의 생존률을 높일 수 있고, 병용투여하는 항암제의 용량을 줄여 정상세포에 대한 부작용을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항암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