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본 발명은 족동형 조향장치가 장착된 백팩형 셀프 밸런싱 스쿠터이다. 그 구체적인 수단은 모터(21)가 장착된 2개의 바퀴(20)가 각각 구비되고, 상기 2개의 모터(21)는 회전축이 일직선이 되도록 모터하우징(10)에 안착되며, 상기 모터하우징(10)의 상부에는 탑승자가 발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발판(30)이 설치되고, 상기 발판(30)의 어느 일측에는 다이얼 방식으로 회전되면서 작동되는 셔틀링(40)이 장착되며, 상기 발판(30)의 상부에는 입설하우징(50)이 장착되되, 상기 입설하우징(50)의 내부에는 배터리(51)가 장착되고, 입설하우징(50)의 상부에는 주행과 방향전환을 관장하는 콘트롤러(52)가 장착되며, 상기 입설하우징(50)의 상면은 덮개(53)로 마감되고, 안장(60)은 덮개(53)의 중앙에 형성된 끼움공에 끼워지며, 상기 입설하우징(50)을 감싸면서 가방(80)이 장착되어, 사용자가 가방(80)을 등에 지고 보행하거나, 가방(80)을 지면에 내려놓고 안장(60)에 앉은 상태에서 양손을 자유롭게 하여 주행하고, 상기 셔틀링(40)을 발로 회전시키면서 방향전환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Abstract:
본 발명은 계단을 밟고 올라갈 수 있는 계단 승월이 가능한 주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그 구체적인 구성은, 몸체부(11)의 하부에는 계단의 단차에 대응되는 돌출지지부(12)와 함몰지지부(13)가 형성되고, 몸체부(11)의 일측과 타측의 좌우에는 제1구동모터(20)가 각각 장착되며, 상기 제1구동모터(20)의 축에는 일측에 형성된 제1장착공(31)을 통해 회동장착부(30)가 각각 장착되고, 제2구동모터(21)는 상기 회동장착부(30)의 타측에 형성된 제2장착공(32)에 각각 장착되며, 상기 각각의 제2구동모터(21)의 축에는 제1바퀴(40)와 제2바퀴(41)가 각각 장착되어 계단의 상부면(50)을 제1,2바퀴(40, 41)와 상기 돌출지지부(12) 및 함몰지지부(13)가 서로 교차로 밟으면서 오르고 내리도록 구성된다.
Abstract:
본 발명은 외력 발생시 직진 주행이 유지되는 투휠 셀프밸런싱 스쿠터의 주행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그 구체적인 주행방법은 다음과 같다. 전원을 인가하는 주행 준비단계(S10)와, 탑승자가 몸을 전방 또는 후방으로 기울이면서 각도에 따른 주행속도 및 전후진 주행방향을 설정하여 주행하는 주행단계(S20)와, 한쪽 바퀴의 펑크시 펑크난 바퀴의 회전수를 향상시키는 사고 바퀴 급속회전단계(S30)와, 사고 바퀴의 회전수에 맞추어 정상 바퀴의 회전수를 저감하는 정상 바퀴 감속회전단계(S40)와, 사고 바퀴의 회전수와 정상 바퀴의 회전수를 동일하게 조절하는 양쪽 바퀴 회전수 맞춤단계(S50)와, 상기 양쪽 바퀴 회전수 맞춤단계(S50)를 반복하면서 주행하는 회전수 반복 맞춤 주행단계(S60)가 포함된다.
Abstract:
본 발명은 전동식 치근관 충진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손상된 치근관의 절삭부위를 충진재로써 충진시킬 때 사용하는 충진재 주입용 건과 수직가압용 펜 및 펄프테스터 장치를 하나로 통합하되, 전기케이블이 필요없는 무선 충전형태으로 형성하고, 충진재를 압출할 때에, 레버를 수동으로 당기는 방식이 아니라 버튼의 간편한 조작을 통한 모터의 작동으로 충진재를 용이하게 압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시술작업을 손떨림없이 신속하고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치근관 충진장치에 관한 것이다.
Abstract:
본 발명은 비소성 성형법을 이용한 고강도 저흡수율을 갖는 흙 벽돌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토양과 혼합되는 분체 성분으로서 시멘트와 흙 고화제 조성물로 이루어진 고화재 및 굴껍질 분말, 폐브라운관 분말 등의 폐자재 분말을 혼합하여 토양에 적용함으로써 고강도의 흙 벽돌을 안정적으로 제조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흙 고화제 조성물로 인해 시멘트 표면과 토양 간의 결합이 강화됨으로써 토양의 고결화를 촉진 및 강화할 수 있으며, 폐자재 분말을 혼합 사용함으로써 강도를 더욱 강화할 수 있고 폐자재를 재활용함으로써 폐자재로 인한 2차적 환경 오염을 줄이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으로 제조되는 흙 벽돌은 내구성, 압축강도, 흡수성 등 물성이 매우 우수하고, 작업성, 시공성이 우수하며 경제성도 매우 뛰어나므로 조적 벽돌, 바닥 벽돌, 각종 블록 등 다양한 활용이 가능하다.
Abstract:
본 발명은, 리튬 디실리케이트 결정을 포함하는 결정화유리로서, 리튬 디실리케이트 결정 형성의 주성분으로 작용하는 Li 2 O 5∼30중량%와 SiO 2 60∼75중량%, 핵 형성제 역할을 하는 P 2 O 5 0.01∼5중량%, 유리전이온도와 연화점을 증가시키고 결정화유리의 화학적 내구성을 증진하기 위한 Al 2 O 3 0.1∼10중량%, 리튬 디실리케이트 결정의 생성온도를 낮추고 생성되는 결정의 크기를 미세화하며 화학적 내구성을 증진하기 위한 ZnO 0.01∼10중량%, 유리 형성을 위한 용융 시에 점도를 감소시켜 리튬 디실리케이트 결정의 생성온도를 낮추고 상기 결정의 크기를 작게 하기 위한 B 2 O 3 0.1∼6.5중량%, 및 유리 형성을 위한 용융 시에 용융성을 좋게 하기 위한 알칼리 산화물 0.1∼7중량%를 포함하는 치아용 고강도 결정화유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고강도를 가지며 비니어(veneer), 인레이(inlay), 온레이(onlay) 뿐만 아니라 구치부(어금니)의 치관(crown)용으로도 사용할 수 있다.
Abstract:
본 발명은, 유치관의 골격을 이루는 지르코니아 또는 알루미나, 사출 성형시 점도를 낮추어 연성을 부여하기 위한 중합체 및 유치와 동일 또는 유사한 색상을 부여하기 위한 조색제를 포함하는 원재료를 혼합하는 단계와, 혼합된 원재료에 함유된 중합체가 연성을 갖도록 가열하는 단계와, 가열된 원재료를 사출 성형하는 단계와, 사출 성형된 사출물에 대하여 취성을 약화시키고 연성이 생기도록 하는 중합체 추출 단계와, 중합체 추출에 의해 중합체 중 일부가 추출된 사출물로부터 중합체 성분을 완전히 제거하기 위하여 탈지하는 단계와, 기계적 물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중합체가 제거된 탈지체를 소결하는 단계 및 소결체 외면을 연마하여 광택성을 부여하고 버(Burr)를 제거하기 위하여 바렐 가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세라믹 유치관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세라믹 유치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높은 강도와 인성을 가지는 지르코니아 또는 알루미나를 원재료로 이용하므로 심미적으로 우수하고 생체친화성이 높으며, 사출 성형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제작이 가능하고 대량 생산이 가능함으로써 제조원가가 절감되고 가격이 저렴하여 소아보철용 유치관으로 널리 활용될 수 있다.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인가하는 전류에 따라 색온도가 변화하는 발광 소자 패키지에 관한 것으로서, 적어도 둘 이상의 발광 소자, 및 발광 소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외부로부터 발광 소자에 전원을 공급하는 리드부를 포함하고, 발광 소자 중 적어도 두 개의 발광 소자는 서로 다른 색좌표를 갖고, 리드부에 입력되는 전류의 세기가 변화되면 서로 다른 색좌표를 갖는 발광 소자에 흐르는 전류의 비율이 변화하여 발광색의 색좌표가 변화하는 발광 소자 패키지를 제공한다.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애드 혹 네트워크 (Wireless Ad Hoc Network) 에서 에너지 효율을 높이기 위해 최적의 전송 경로를 설정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은 제한된 에너지로 동작하는 기기간(M2M: Machine to Machine) 통신 장치들로 구성된 무선 네트워크의 다중 홉 데이터 전송 환경에서, 상기 네트워크 내 노드의 위치 등 상기 네트워크의 링크 정보를 기반으로, 최적화된 데이터 전송 경로를 설정하되, 이를 위하여 각 홉마다 단일입출력(SISO: Single Input Single Output), 가상 단일입력 다중출력(V-SIMO: Virtual Single Input Multiple Output), 가상 다중입력 단일출력 (V-MISO: Virtual Multiple Input Single Output) 및 가상 다중입출력 (V-MIMO) 전송기법 중 최적의 전송기법을 선택하여 에너지 소모를 최소화하는 무선 M2M 통신 네트워크 프로토콜에 관한 것이다.
Abstract:
본 발명은 시뮬레이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작은 용량의 1개의 컴프레서(Compressor)를 원동력으로, 2개의 실린더의 조작을 통해 실린더가 좌, 우, 전, 후 또는 좌, 우, 전, 후의 조합으로 움직임에 따라 탑승자가 스포츠 또는 전투 등과 같은 게임을 실감나게 즐길 수 있도록 한 시뮬레이터에 관한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간단한 구성임에도 불구하고, 컴퓨터 게임시, 컴퓨터의 움직임 상황을 실제 장면처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 있으므로, 새로운 게임 문화를 창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