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나노와이어와 같은 나노구조를 이용한 의사 유전체가 개시되었다. 실시예들에서, 나노로드, 나노튜브 또는 나노리본 등과 같은 다른 나노구조를 이용한 의사 유전체가 개시되었다. 의사 유전체는 유전체 재료 내에 매립된 복수의 나노와이어 (또는 다른 나노구조)를 갖는 유전체 재료를 포함한다. 매우 높은 유전 상수는 나노구조를 이용한 의사 유전체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유전 상수는 나노구조의 길이, 직경, 캐리어 밀도, 형상, 애스펙트비, 배향 및 밀도를 변화시킴으로써 조정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나노와이어와 같은 나노구조를 이용한 제어 가능한 의사 유전체가 개시되었으며, 여기에서, 유전 상수는, 전계를, 제어 가능한 의사 유전체에 인가함으로써 동적으로 조정될 수 있다. 전자 소자의 광범위는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나노구조를 갖는 의사 유전체를 사용할 수 있다. 소자의 일례로서, 커패시터 박막 트랜지스터, 다른 타입의 박막 전자 소자, 마이크로스트립 소자, 표면 탄성파(SAW) 필터, 다른 타입의 필터, 및 레이더 감쇄 재료(RAM) 등이 있다. 의사 유전체, 나노구조, 나노와이어
Abstract:
A method for manufacturing nano wire of the core/shell shape is provided to have a simple manufacturing process and to control density and position. A method for manufacturing nano wire of the core/shell shape comprises steps of: forming an insulating layer(2) patterned on a substrate(1); forming perpendicularly a plurality of nanowires(3) of a cores(core) part on patterning on the substrate from which the insulating layer is removed; forming a first shell part nanowire(4) on a surface of the nanowire of a core part; and removing a substrate.
Abstract:
그 길이 방향 축에 따른 임의의 지점에서 500㎚보다 작은 최대 단면 치수를 가지는 단결정, 봉형 및 벌크 도핑된 반도체, 및 500㎚보다 작은 최소폭을 가지는 적어도 한 부분을 갖는 자유 설치형의 벌크 도핑된 반도체 중 적어도 하나인 벌크 도핑된 반도체. 그러한 반도체는 제1 반도체를 포함하는 내부 코어 및 제1 반도체와 다른 재료를 포함하는 외부 쉘(shell)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한 반도체는 봉형이고, 그러한 반도체의 길이 방향 섹션을 따른 임의의 지점에서 4:1, 또는 10:1, 또는 100:1, 또는 심지어 1000:1보다 큰 섹션의 길이 대 최장 폭의 비율을 가질 수 있다. 그러한 반도체의 적어도 한 부분은 200㎚, 150㎚, 100㎚, 80㎚, 70㎚, 60㎚, 40㎚, 20㎚, 10㎚, 또는 심지어 5㎚보다 작은 최소폭을 가질 수 있다. 그러한 반도체는 단결정일 수 있고, 자유 설치형(free-standing)일 수 있다. 그러한 반도체는 소량 n-도핑, 다량 n-도핑, 소량 p-도핑 또는 다량 p-도핑될 수 있다. 그러한 반도체는 성장 동안에 도핑된다. 그러한 반도체는 다양한 디바이스 및 그 조합 중 임의의 것을 포함하는 디바이스의 일부가 될 수 있고, 다양한 조립 기술들이 그러한 반도체로부터 디바이스를 제조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그러한 반도체의 어레이를 포함하는 2개 이상의 그러한 반도체가 조합되어, 디바이스를 형성하고, 예를 들면 디바이스의 교차 pn 접합을 형성한다. 특정 크기의 그러한 디바이스는 양자 구속 및 다른 양자 현상을 나타낼 수 있고, 하나 이상의 그러한 반도체로부터 방출된 광의 파장은 그러한 반도체의 폭을 선택함으로써 제어될 수 있다. 이것으로부터 만들어지는 이러한 반도체 및 디바이스는 다양한 응용에 이용될 수 있다. 봉형 반도체, 도핑, 성장, 벌크-도핑, 디바이스 제조
Abstract:
A bulk-doped semiconductor that is at least one of the following: a single crystal, an elongated and bulk-doped semiconductor that, at any point along its longitudinal axis, has a largest cross-sectional dimension less than 500 nanometers, and a free-standing and bulk-doped semiconductor with at least one portion having a smallest width of less than 500 nanometers. Such a semiconductor may comprise an interior core comprising a first semiconductor; and an exterior shell comprising a different material than the first semiconductor. Such a semiconductor may be elongated and may have, at any point along a longtiudinal section of such a semiconductor, a ratio of the length of the section to a longest width which is greater than 4:1, or greater than 10:1, or greater than 100:1, or even greater than 1000:1. At least one portion of such a semiconductor may a smallest width of less than 200 nanometers, or less than 150 nanometers, or less than 100 nanometers, or less than 80 nanometers, or less than 70 nanometers, or less than 60 nanometers, or less than 40 nanometers, or less than 20 nanometers, or less than 10 nanometers, or even less than 5 nanometers. Such a semiconductor may be a single crystal and may be free-standing. Such a semiconductor may be either lightly n-doped, heavily n-doped, lightly p-doped or heavily p-doped. Such a semiconductor may be doped during growth. Such a semiconductor may be part of a device, which may include any of a variety of devices and combinations thereof, and a variety of assembling techniques may be used to fabricate devices from such a semiconductor. Two or more of such a semiconductors, including an array of such semiconductors, may be combined to form devices, for example, to form a crossed p-n junction of a device. Such devices at certain sizes may exhibit quantum confinement and other quantum phenomena, and the wavelength of light emitted from one or more of such semiconductors may be controlled by selecting a width of such semiconductors. Such semiconductors and device made therefrom may be used for a variety of applications.
Abstract:
그 길이 방향 축에 따른 임의의 지점에서 500㎚보다 작은 최대 단면 치수를 가지는 단결정, 봉형 및 벌크 도핑된 반도체, 및 500㎚보다 작은 최소폭을 가지는 적어도 한 부분을 갖는 자유 설치형의 벌크 도핑된 반도체 중 적어도 하나인 벌크 도핑된 반도체. 그러한 반도체는 제1 반도체를 포함하는 내부 코어 및 제1 반도체와 다른 재료를 포함하는 외부 셀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한 반도체는 봉형이고, 그러한 반도체의 길이 방향 섹션을 따른 임의의 지점에서 4:1, 또는 10:1, 또는 100:1, 또는 심지어 1000:1보다 큰 섹션의 길이 대 최장 폭의 비율을 가질 수 있다. 그러한 반도체의 적어도 한 부분은 200㎚, 150㎚, 100㎚, 80㎚, 70㎚, 60㎚, 40㎚, 20㎚, 10㎚, 또는 심지어 5㎚보다 작은 최소폭을 가질 수 있다. 그러한 반도체는 단결정일 수 있고, 자유 설치형(free-standing)일 수 있다. 그러한 반도체는 소량 n-도핑, 다량 n-도핑, 소량 p-도핑 또는 다량 p-도핑될 수 있다. 그러한 반도체는 성장 동안에 도핑된다. 그러한 반도체는 다양한 디바이스 및 그 조합 중 임의의 것을 포함하는 디바이스의 일부가 될 수 있고, 다양한 조립 기술들이 그러한 반도체로부터 디바이스를 제조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그러한 반도체의 어레이를 포함하는 2개 이상의 그러한 반도체가 조합되어, 디바이스를 형성하고, 예를 들면 디바이스의 교차 pn 접합을 형성한다. 특정 크기의 그러한 디바이스는 양자 구속 및 다른 양자 현상을 나타낼 수 있고, 하나 이상의 그러한 반도체로부터 방출된 광의 파장은 그러한 반도체의 폭을 선택함으로써 제어될 수 있다. 이것으로부 터 만들어지는 이러한 반도체 및 디바이스는 다양한 응용에 이용될 수 있다. 봉형 반도체, 도핑, 성장, 벌크-도핑, 디바이스 제조
Abstract:
유기 반도체 분자를 재료로 하여 형성되는 도전로가 신규한 구조를 가지고, 높은 이동도를 나타내는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이다. 4,4′-비페닐디티올 등의 유기 반도체 분자(9)의 양단에 있는 관능기에 의해, Au 등의 도체 또는 반도체로 이루어지는 미립자(8)와 유기 반도체 분자(9)를 번갈아 결합시켜, 미립자(8) 내의 도전로와 유기 반도체 분자(9) 내의 도전로가 2차원 또는 3차원적으로 연결된 네트워크 형상의 도전로를 형성한다. 이 도전로에는, 분자 사이의 전자 이동이 포함되지 않고, 이동도가 분자 사이의 전자 이동에 의해 제한되는 일이 없기 때문에, 유기 반도체 분자 내의 주쇄에 따른 (분자의 축 방향의) 도전로의 이동도, 예를 들면 비국재화된 π전자에 의한 높은 분자 내 이동도를 최대한으로 이용할 수가 있다.
Abstract:
PURPOSE: A micro electric device is provided to minimize the size of capacitors, to decrease capacitance thereof, and to increase the coulomb trap effect and safety of the micro electric device. CONSTITUTION: A micro electric device includes a board(2), an insulation layer(6), and a field effect transistor. The board(2) includes a source(3) region and a drain(4) region divided by a channel region(5). The insulation layer(6) is placed on the channel region(5). The insulation material includes at least one cage molecule(8) including a closed hollow shell. The cage molecule(8) is able to conduct electrons substantially, and to define a coulomb barrier, and to accept and store at least one electron when a voltage high enough to overcome the coulomb barrier is applied between the source region(3) and drain region(4) and the gate.
Abstract:
PURPOSE: A pressure sensor with a nanostructure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re provided to improve a response speed and the sensitivity of a sensor due to the nanostructure adhered to the surface of the sensor. CONSTITUTION: A pressure sensor(100) with a nanostructure comprises a substrate(110), a source electrode(120), a drain electrode(130), and flexible sensor layer(140). The source and the drain electrodes are arranged separately on the substrate on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flexible sensor layer is arranged on the source and drain electrodes. The nanostructure adhered to a surface of the flexible sensor layer includes a zigzagged portions of a nano size.
Abstract:
PURPOSE: A graphene electric element and a manufacturing method are provided to prevent the damage of graphene when eliminating a photosensitive pattern by preventing the photosensitive pattern to be directly touched with a graphene layer. CONSTITUTION: A conductive substrate is used as a gate electrode. A gate oxide(112) is arranged on the substrate. A pair of first metals is separated on the gate oxide. A graphene channel layer(130) is extended between the pair of first metals. The graphene channel layer is composed of graphene of a single layer or a bi-layer. A source electrode(142) and a drain electrode are respectively arranged on both ends of the graphene channel layer. The source electrode and the drain electrode are composed of Au. The thickness of the source electrode and the drain electrode is 10nm to 1000nm.
Abstract:
종래의 탄소 분자로 이루어진 전자소자의 결점을 극복하고, 그것을 상회하는 성능을 가질 수 있는 초소형의 전자소자, 및 그것의 제조 방법이다. 내측의 금속성 카본 나노 튜브층(2)이 외측의 반도체성 카본 나노 튜브층(1)으로 부분적으로 덮인 다층 카본 나노 튜브(10)를 사용하여, 금속으로 이루어진 소스 전극(3) 및 드레인 전극(5)을 반도체성 카본 나노 튜브(1)의 양단에 접촉시키고, 금속으로 이루어진 게이트 전극(4)을 금속성 카본 나노 튜브(2)에 접촉시키고, 반도체성 카본 나노 튜브층(1)과 금속성 카본 나노 튜브층(2) 사이의 공간을 게이트 절연층으로 하여, 절연 게이트형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를 구성한다. 다층 카본 나노 튜브(10)는, 다층 카본 나노 튜브의 각 카본 나노 튜브층으로부터, 외측에 반도체성 카본 나노 튜브층(1)이 있고, 내측에 금속성 카본 나노 튜브층(2)이 있는 2층을 선택하고, 목적에 알맞은 형태로 성형하여, 이용한다. 그라파이트, 카본 나노 튜브, 절연 게이트,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