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본 발명은 신규 바이페닐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 합병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신규 바이페닐 화합물은 당뇨합병증의 원인이며 당뇨 합병증 치료제의 효능 평가의 척도가 되는 최종당화산물에 대한 생성 저해 활성 효과가 뛰어나고, 실제 당뇨성 망막증이 유도된 망막에 대하여 우수한 망막혈관의 치료효과, 오클루딘 증가 및 신생혈관성장인자의 감소를 나타내므로, 당뇨성 망막증과 같은 당뇨합병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Abstract:
본 발명의 자기유도 전력전달용 급전선로의 전자기 차폐장치는 급전선로의 상부에 일직선으로 연장되는 제1 접지부재; 및 상기 제1 접지부재와 교차된 상태로 일정 간격마다 배치되는 제2 접지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접지부재와 상기 제2 접지부재는 뼈대형 구조의 형상으로 연결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온라인 전기자동차의 급전선로 및 집전코일에 각각 뼈대구조형 접지선을 설치함으로써 온라인 전기자동차의 전력 전달시 자기유도에 의한 와류전류손실이 발생하지 않으면서 급전선로와 집전코일에서 발생되는 전자기파를 차폐시키고 고압전기에 안전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Abstract:
본 발명은 공간분할 다중 급집전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 수중 이동체 또는 로봇 등의 다양한 이동체에 대한 비접촉 방식의 급전 및 집전을 위해, 이동체의 진행방향을 따라 위상분할, 시간분할 또는 주파수분할 등에 의한 다중급전 방식의 선로로 구성하고 이로부터 전력을 공급받게 하는 공간분할 다중 급집전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I형 급전선로에 이동체 진행방향을 따라 이와 같은 공간 분할 다중급전 방식을 적용함으로써 이동체의 진행방향으로 발생하는 규칙적인 출력전압의 변동을 최소화하여 거의 일정한 출력전압을 얻을 수 있으며, 2차측으로 전달되는 평균출력전력을 향상시키고, 인접한 자극 간에 발생하는 누설자속을 감소시켜 줌으로써 공극간격을 크게 한다.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터치 스크린의 리드아웃 회로부는, 복수의 터치 센서가 터치 스크린 패널(TSP) 내부 또는 외부에 행과 열의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된 터치 센서부; 상기 터치 센서 각각의 전기적 변화를 감지한 후 이를 전압값으로 변환하여 저장하는 센싱 블록; 일정 간격을 두고 선택된 2개의 상기 센싱 블록에 각각 저장된 2개의 센싱 전압값의 차이를 인가 받아 델타(△) 전압을 만들어 내는 델타 회로부; 상기 델타회로부에서 출력된 아날로그 신호를 N(자연수) 비트의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ADC)를 제공함에 기술적 특징이 있다.
Abstract:
본 발명은 철분보조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산세수를 이용한 식물용 및 동물용 철분보조제에 관한 것이다. 제철 산업의 탄소강 산세과정에서 부산물로 양산되는 산세수에 함유되어 있는 2가 철이온은 식물 또는 동물의 철분 보조제의 원료로 사용함으로써, 바이오산업에 이용할 수 있다. 즉, 폐기물을 자원으로 활용하여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시장에 판매되는 식물재배용 철분제들은 그 기술력의 한계로 현장에서는 그 효능을 인정받지 못하거나, 일본에서 수입되는 제품의 경우 그 가격이 고가여서 많은 사람들이 혜택을 누리지 못하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경제적이고 효과적인 철분보조제를 제공하고, 산업폐기물로 버려져 환경을 오염시키는 것도 방지하는 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본 발명은 모듈별 온오프 제어되는 교차형 세그멘트 급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 수중 이동체 또는 로봇 등의 다양한 이동체에 대한 비접촉 방식의 급전선로를 모듈화하고, 모듈간의 급전선 연결을 스위칭함으로써 각 급전모듈의 급전상태를 온오프 제어하는 교차형 세그멘트 급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급전선과 별도로 각 급전모듈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공통선을 설치할 필요없이 각 급전모듈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을 조절하는 스위치를 제어하여 하나 또는 다수의 급전모듈을 선택적으로 온오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공통선 설치에 따른 비용을 줄이면서도 이동체가 운행하지 않는 선로에서의 EMF 문제를 개선할 수 있게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