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해상 풍력 발전기, 해상 풍력 발전기 이송용 리프팅 지그 및 해상 풍력 발전기의 설치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상 풍력 발전기는 블레이드, 블레이드의 회전에 따라 발전하는 발전기를 구비한 나셀 및 나셀을 지지하되, 해상에 설치된 지지 구조물에 설치되는 타워를 포함하는 해상 풍력 발전기로서, 블레이드, 나셀 및 타워가 일체로 조립된 상태에서 타워가 소정의 이송 수단을 이용하여 들어올려질 수 있도록 타워에 설치되는 타워 지지 구조체를 포함하되, 타워 지지 구조체는 블레이드, 나셀 및 타워가 일체로 조립된 풍력 발전기의 무게 중심보다 상측에 위치된다.
Abstract:
비접촉 자기 유도 충전 방식의 전기자동차 전력 공급 시스템 및 방법은 전기 자동차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모터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본 시스템 및 방법에 따르면, 도로에 매립된 급전선로로부터 집전 모듈이 집전한 AC 전압을 DC 전압으로 변환하는 레귤레이터, 레귤레이터로부터 전달받은 DC 전압으로 충전되며, 구동모터에서 구동전압보다 더 큰 전압이 필요한 경우에 구동모터로 내부에 충전된 전압을 공급하는 슈퍼 커패시터, 및 슈퍼 커패시터로부터 전달받은 충전된 전압을 구동전압으로 변환하여 구동모터로 공급하는 DC-DC 컨버터가 구비된다. 따라서 구동모터와 배터리에 불안정한 DC 전압을 공급하는 대신에 일정한 크기를 갖는 정전압을 공급함으로써, 전기자동차를 안정성 있게 구동할 수 있으며, 배터리의 수명을 연장시키고 충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Abstract:
본 발명은 배터리로 충전되는 회생제동 전력과 레귤레이터 충전전력을 회생 제동 기능 on/off를 통해 안정적으로 제어하여 안전성 및 효율성을 높인 비접촉 자기 유도 충전 방식을 갖는 이동체의 충전 전력 분배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급전 선로로부터 자기장의 형태로 공급되는 AC 전류를 입력받아 집전하고 자기유도 에너지를 생성하는 단계; 레귤레이터로부터 전력공급이 있는지 없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레귤레이터로부터 전력공급이 있는 경우에는 회생제동 기능을 off하고 집전된 자기유도 에너지를 구동모터로 공급하여 배터리 충전을 하는 단계; 레귤레이터로부터 전력공급이 없는 경우에는 회생제동 기능을 on하고 회생 제동 에너지를 공급하여 배터리 충전을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Abstract: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사용자 단말 제어방법, 장치, 이를 위한 기록매체 및 이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이 제공된다. 본 발명은 순차적으로 표시될 수 있는 컨텐츠가 표시되는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사용자 단말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의 터치스크린에서 터치 및 터치 수가 검출되는 단계, 상기 검출된 터치 수에 따라 컨텐츠 변환량이 결정되는 단계, 및 상기 터치 수 검출 후 수행되는 터치제스쳐에 따라 상기 터치스크린에 표시된 컨텐츠가 상기 결정된 변환량에 대응하는 컨텐츠로 변환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Abstract:
본 발명의 2차 전지의 잔존용량 연산 방법은 (a) 2차 전지의 개방회로전압 기반의 전압값과 전류 적산에 의해 연산된 잔존용량 값의 평균값을 구하여 이퀄라이징을 수행하는 단계; (b) 상기 2차 전지의 온도와 잔존수명을 연산하는 파라미터를 통해 가감 연산을 수행하는 단계; 및 (c) 상기 단계(a)에서 산출된 2차 전지의 잔존용량 값과 상기 단계(b)에서 연산된 값을 합산하여 실제 2차 전지 잔존용량 값을 도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2차 전지의 잔존용량을 정확히 연산 및 도출하는데 있어 기존 방법 대비 전지의 온도 및 잔존수명을 보상함으로써 최소한의 오차를 갖는 완성도 높은 방법으로 SOC를 산출할 수 있다.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자동차의 집전장치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온라인 전기자동차용 급전 케이블에 관한 것으로, 전기자동차용 급전 케이블은 일 방향으로 전류가 흐르고 도로의 외측에 가깝게 위치한 제1 전선부분; 상기 제1 전선부분의 전류와 역방향으로 전류가 흐르고, 도로의 또 다른 외측에 가깝게 위치한 제2 전선부분; 상기 제2 전선부분의 전류와 역방향으로 전류가 흐르고, 상기 제2 전선부분의 일 측에서 대향하며 도로의 또 다른 외측에 가깝게 위치한 제3 전선부분; 상기 제3 전선부분의 전류와 역방향으로 전류가 흐르고, 상기 제1 전선부분의 일 측에서 대향하며 도로의 또 다른 외측에 가깝게 위치한 제4 전선부분; 상기 제1 또는 제3 전선부분으로부터 연장되고 구부러져 형성됨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3 전선부분을 연결하는 제1 연결부분; 및 상기 제2 또는 제4 전선부분으로부터 연장되고 구부러져 형성됨에 따라 상기 제2 및 제4 전선부분을 연결하는 제2 연결부분; 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연결부분은 서로 교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그로 인해 도로의 외측에 발생하는 전자기장 및 온라인 전기자동차의 정차중 충전간 X자형으로 이루어진 도로의 내측 구간(비급전 구간)에서 발생하는 전자기장을 감소시키는 기술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기자동차용 급전 케이블은 일정 방향으로 구부러져 형성됨에 따라 도로의 외측에 발생하는 전자기장을 상쇄하여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Abstract:
본 발명의 자기유도 전력전달용 급전선로의 전자기 차폐장치는 급전선로의 상부에 일직선으로 연장되는 제1 접지부재; 및 상기 제1 접지부재와 교차된 상태로 일정 간격마다 배치되는 제2 접지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접지부재와 상기 제2 접지부재는 뼈대형 구조의 형상으로 연결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온라인 전기자동차의 급전선로 및 집전코일에 각각 뼈대구조형 접지선을 설치함으로써 온라인 전기자동차의 전력 전달시 자기유도에 의한 와류전류손실이 발생하지 않으면서 급전선로와 집전코일에서 발생되는 전자기파를 차폐시키고 고압전기에 안전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Abstract:
본 발명은 모듈화된 전기자동차용 급전장치 및 급전선 배치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도로의 진행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도로의 진행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배치된 복수 개의 자극을 구비하고, 도로진행방향에 수직인 폭을 매우 작게 한 급전코어와 도로의 진행방향을 따라 서로 이웃하는 상기 급전코어의 자극이 다른 극성을 갖도록 배치되는 급전선을 포함하며, 모듈화를 통해서 각각의 모듈을 ON/OFF 제어할 수 있는 전기자동차용 급전장치 및 급전선 배치방법에 관한 것이다.
Abstract:
본 발명은 온라인 전기자동차용 세그먼트 충전 제어방법을 개시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로 밑에 매설된 하나이상의 세그먼트로 구성된 급전장치에 의해 자기유도 방식으로 전기자동차에 전력을 공급하는 방식에 있어서, 세그먼트의 충전 응답시간을 고려하여 인버터를 제어함으로서 전력낭비를 감소시키는 온라인 전기자동차용 세그먼트 충전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온라인 전기자동차의 세그먼트 충전제어방법으로서, (a) 세그먼트로부터 진입중인 차량의 속도 및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b) 상기 속도 및 위치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차량이 현재 진출중인 세그먼트와, 이후 진입할 차기 세그먼트의 충방전 시점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급전 세그먼트 충방전 응답지연 특성을 고려하여 온라인 전기자동차의 이동속도에 따른 급전 세그먼트의 동작시점을 제어함으로서, 효율을 향상시키고 전력낭비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사용자 단말의 컨텐츠 제어방법, 장치, 이를 위한 기록매체 및 이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이 제공된다.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사용자 단말의 컨텐츠 제어방법에 있어서, 컨텐츠 변환 진행 시 터치스크린에서의 터치가 검출되면, 검출된 터치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컨텐츠 일부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고정된 컨텐츠 영역을 참조 컨텐츠로 하여, 두 개 이상의 컨텐츠 비교가 용이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