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본 발명의 선박용 크레인은 선박의 내부에 설치되는 크레인에 있어서, 상기 선박의 내부에 전후 방향과 좌우 방향에 상호 마주 보는 위치에 각각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선박에 고정되어 있는 지주 프레임, 상기 지주 프레임의 좌우 방향에 각각 배치되어 있으며, 전후 방향에 위치한 각각의 상기 지주 프레임에 양끝이 위치하고 있는 지지 프레임, 상기 지지 프레임의 전후 방향 양끝에 각각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지주 프레임에 지지되도록 상기 지지 프레임을 연결하면서 상기 지지 프레임을 상하로 이송시키는 상하 이송 장치, 상기 지주 프레임의 전면에 가로 질러 배치되어 있으며, 좌우 방향에 위치한 각각의 상기 지지 프레임에 양끝이 위치하고 있는 이송 프레임, 상기 이송 프레임의 좌우 방향 양끝에 각각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 프레임에 지지되도록 상기 이송 프레임을 연결하면서 상기 이송 프레임을 전후로 이송시키는 전후 이송 장치, 상기 이송 프레임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중량물을 상기 이송 몸체에 지지된 버킷 작동 장치의 작동으로 파지한 상태로 이송시키는 버킷 몸체, 그리고 상기 버킷 몸체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이송 프레임에 지지 되도록 상기 버킷 몸체와 상기 버킷 작동 장치를 연결하면서 상기 버킷 몸체를 좌우로 이송시키는 좌우 이송 장치를 포함한다.
Abstract:
본 발명은 해양폐기물의 해상 수거, 전처리 및 도서지역 전력공급이 가능한 해양폐기물 자원화 처리 선박에 관한 것으로서, A) 연안에 적체되어 있는 해양폐기물을 선박 내로 수거하는 해양폐기물 수거장치; B)상기 해양폐기물 수거장치를 통해 운반되는 해양폐기물을 보관하는 저장조로서, 운반되어온 해양폐기물이 지니고 있는 해수성분을 1차적으로 제거하는 제1벙커; C) 상기 제1벙커에 집하된 해양폐기물을 파쇄하는 파쇄장치; D) 상기 파쇄장치를 통과한 해양폐기 파쇄물을 성상에 따라 선별하는 선별장치; E) 상기 선별장치를 통해 선별되는 선별물을 성상에 따라 저장하기 위한 저장조로서 선별금속저장조, 선별비철금속저장조, 및 선별가연물저장조를 포함하는 선별물 저장조; F) 상기 선별물 저장조 중의 선별가연물 저장조의 가연물이 지니는 수분을 2차적으로 제거하기 위한 건조장치; G) 상기 건조장치를 통해 건조된 선별가연물을 저장하는 제2벙커; H) 제2벙커에 집하된 가연물을 소각로에 투입하기 위한 제1크레인; I) 상기 제2벙커에서 상기 제1크레인을 통해 운반 및 투입되는 선별가연물을 소각하여 열에너지원을 생산하는 소각로; J) 상기 소각로를 통해 소각된 선별가연물의 재를 회수 및 저장 처리하는 회처리장치; K) 상기 소각로를 통해 발생한 열에너지원을 선박의 운항을 위한 발전 (및 축전)에 사용하기 위한 보일러; L) 상기 보일러에서 발생된 스팀으로 전력을 생산하는 발전장치; M) 상기 발전장치를 통해 생산되는 전력을 도서지역에 설치되어 있는 해저케이블에 연결시켜 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송전케이블을 포함하는 송전장치;를 포함하는 해양폐기물 자원화 처리 선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해양에 적체되어 있는 해양폐기물의 처리에 필요한 육상 이송의 비용을 절감할 뿐만 아니라, 해상의 본 발명에 의한 선박에 의해 처리되므로, 운반과정에서 발생하는 환경문제를 근본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효과를 가져온다. 그리고, 종래에 해양 폐기물이 육상에 매립되어 오던 상황에서 매립부지의 확보와 토양오염의 2차 환경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종래에 해양폐기물이 가지는 우수한 발열량을 지닌 특성을 단순 소각으로 처리하는 문제를 소각을 통한 에너지화의 창출이라는 효과를 가져온다. 또한, 전환되는 에너지를 해양 폐기물이 곳곳에 적체되어 있는 장소까지의 선박 운항에 사용하여 종래의 선박운항에 필요했던 중유 등의 사용을 대폭 낮추어 비용절감을 가져오며, 더욱이 전환되는 에너지원은 고급의 전기에너지로서, 전력 공급 소외지역인 도서지역에 공급함으로서, 도서지역에 별도의 발전시설을 구축하기 위한 비용을 절감 및 에너지원 접근권의 원활화를 기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Abstract:
본 발명은 난연성, 착색성 및 내스크래치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A)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계 공중합체 10 내지 89 중량%,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계 공중합체 89 내지 10 중량%로 이루어진 기본수지 100 중량부; B) 브롬계 유기난연제 10 내지 40 중량부; 및 C) 코팅형 안티몬계 화합물 0.1 내지 10 중량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계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수지에 브롬계 유기난연제 및 코팅형 안티몬계 화합물을 포함시켜 시너지 효과로 우수한 난연성, 충격강도, 내스크래치성, 착색성 및 표면경도를 가지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Abstract:
본 발명은 소각로를 중심으로 하여 원료가 저장된 원료 저장부와 회저장조가 대칭으로 선박의 선단에 탑재되고, 소각로를 탑재하여 운항 중 소각을 통한 선박의 하중을 조절하는 선박 하중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원료 저장조의 하부 및 선박의 하부에 위치하며 해수를 저장할 수 있는 제1밸러스트; 원료 저장조의 원료를 소각한 후에 발생하는 재를 보관하는 회저장조의 하부 및 선박의 하부에 위치하며 해수를 저장할 수 있는 제2밸러스트; 상기 제1밸러스트와 상기 제2밸러스트 상호간의 해수를 유출입을 제어하는 제1제어장치; 원료의 소각에 의해 감소된 원료량에 따른 해수를 유출입하여 해수를 저장할 수 있는 제3밸러스트; 및 상기 제3밸러스트의 해수의 유출입을 제어하는 제2제어장치;를 포함하는 선박 하중조절장치를 제공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선박 하중 조절장치를 포함하는 해양폐기물 자원화 처리 선박을 제공함으로서, 해양에 적체되어 있는 해양폐기물의 처리에 필요한 육상 이송의 비용을 절감할 뿐만 아니라, 해상의 본 발명에 의한 선박에 의해 처리되므로, 운반과정에서 발생하는 환경문제를 근본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효과를 가져온다. 그리고, 종래에 해양 폐기물이 육상에 매립되어 오던 상황에서 매립부지의 확보와 토양오염의 2차 환경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종래에 해양폐기물이 가지는 우수한 발열량을 지닌 특성을 단순 소각으로 처리하는 문제를 소각을 통한 에너지화의 창출이라는 효과를 가져온다. 또한, 전환되는 에너지를 해양 폐기물이 곳곳에 적체되어 있는 장소까지의 선박 운항에 사용하여 종래의 선박운항에 필요했던 중유 등의 사용을 대폭 낮추어 비용절감을 가져오며, 더욱이 전환되는 에너지원은 고급의 전기에너지로서, 전력 공급 소외지역인 도서지역에 공급함으로서, 도서지역에 별도의 발전시설을 구축하기 위한 비용을 절감 및 에너지원 접근권의 원활화를 기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Abstract:
본 발명은 스티렌계 수지용 난연제 및 난연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비할로겐계 난연 화합물; 및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반복 단위를 갖는 에폭시계 수지; 로 구성되어, 비할로겐계 난연 화합물을 과량으로 사용하지 않고도 익스터널 캔들 프레임 이그니션(External Candle Flame Ignition)의 난연 규격 IEC TS 62441을 통과하는 스티렌계 수지용 난연제 및 난연 조성물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Abstract:
본 발명의 선박용 크레인은 복수의 격실을 가지는 선박의 내부에 설치되는 크레인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격실 내부에 전후 방향과 좌우 방향에 각각 상호 마주보는 위치에 각각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격실 내부에 고정되어 있는 지주 프레임, 상기 지주 프레임의 좌우 방향에 각각 배치되어 있으며, 전후 방향에 위치한 각각의 상기 지주 프레임의 양끝에 위치하고 있는 지지 프레임, 상기 지지 프레임의 전후 방향 양끝에 각각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지주 프레임에 지지되도록 상기 지지 프레임을 연결하면서 상기 지지프레임을 상하로 이송시키는 상하 이송 장치, 상기 지주 프레임의 전면에 가로 질러 배치되어 있으며, 좌우 방향에 위치한 각각의 상기 지지 프레임 하부에 양끝이 위치하고 있고, 다른 상기 격실 방향으로 개방되어 상호 연결되는 위치로 이동되는 이송 프레임, 상기 이송 프레임의 좌우 방향 양끝 상부에 각각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 프레임에 지지되도록 상기 이송 프레임을 연결하면서 상기 이송 프레임을 전후로 이송시키는 전후 이송 장치, 상기 이송 프레임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중량물이 운송되도록 버킷 작동 장치의 작동으로 파지되는 버킷 몸체, 상기 버킷 몸체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이송 프레임에 지지되도록 상기 버킷 몸체와 상기 버킷 작동 장치를 연결하면서 상기 버킷 몸체를 좌우로 이송시키는 좌우 이송 장치, 그리고 복수의 상기 격실 사이에 각각 배치되어 있으며, 각각의 상기 격실의 내부에 배치된 상기 이송프레임이 상호 연결되어 상기 버킷 몸체가 각각의 상기 격실로 이동되면서 상기 중량물을 운송시키는 연결 프레임을 포함한다.
Abstract:
본 발명은 선박을 이용한 해양 송 수전 장치에 관한 것으로, 선박에 있어서, 상기 선박의 안쪽에 배치되어 있으며, 발전에 의해 전력이 생산되는 발전 장치, 상기 선박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선박의 기 설정된 외부 일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송전 크레인, 상기 발전 장치의 일측이 연결되어 있으며, 타측이 상기 송전 크레인의 지지되어 외부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발전 장치에서 생산 전력을 송전시키는 송전선, 상기 송전 크레인의 외부 일측 끝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송전선에 연결되어 송전되는 전력을 공급시키도록 체결되는 송전 접속 장치, 그리고 상기 선박의 일측에 떨어져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송전 접속 장치에 상기 발전 장치에서 생산된 전력을 공급시키도록 연결되고, 일측에 공급된 전력을 외부로 공급시키는 수전 전력선을 가지는 수전 장치를 포함한다.